지역일자리 지표 및 지수 개발

본 연구는 지역 일자리를 둘러싼 노동시장과 일자리 사업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지역 일자리사업 담당자가 지역이 당면한 노동시장 문제를 파악하고 대응 방안을 모색하는 …

연구사업보고서

지역일자리 지표 및 지수 개발_표지 _1

지역일자리 지표 및 지수 개발

지역일자리 지표 및 지수 개발

저자
김수진 외 2명
게시일
2023-09-18
주제대상
일자리사업,공통
조회수
2117
다운로드
699
바로보기
14
키워드

목차

제1장 서론 제1절 연구 배경 제2절 연구의 내용과 방법 제3절 연구의 구성 제2장 일자리 지표와 관련한 선행연구 제1절 일자리 지표 관련 선행연구 제2절 일자리 지수 관련 선행연구 제3장 지역 일자리 지표체계와 지수 제1절 지표, 지표체계 그리고 지수화 제2절 지역 일자리 지표체계의 개념과 구성 제3절 일자리 동향 지표의 개념과 구성 제4절 일자리 사업 지표의 개념과 구성 제5절 일자리 지수의 산출 제6절 지역 일자리 지수의 분포 제4장 지역고용주체 대상 정성조사 결과 제1절 지역고용주체 대상 사전 설문조사 개요 제2절 지역고용주체 대상 FGI 조사 개요 제3절 지방자치단체 일자리 사업담당자 조사 결과 제4절 지역 일자리 사업 담당 고용전문관 조사 결과 제5절 소결 제5장 결론 제1절 요약 제2절 연구의 기대효과와 향후 과제

요약

본 연구는 지역 일자리를 둘러싼 노동시장과 일자리 사업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지역 일자리사업 담당자가 지역이 당면한 노동시장 문제를 파악하고 대응 방안을 모색하는 데 기여하고자하였다. 일자리 사업 설계와 지역 상황 진단을 위한 일자리 생태계 정보는 일자리 정책을 중심으로 한 수요와 공급으로 구분하여 지표체계를 구성하였다. 일자리 정책 수요는 지역 노동시장 상황에 따라 다르며, 경제주체의 노동수요 및 노동 공급 의사결정에 의해 결정된다. 이를 일자리 동향 정보라고 구분하고 차원별 지표를 구성하였다. 또한 지역 노동시장 상황을 종합적이고, 요약적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일자리 양과 일자리 질로 구성된 지역 일자리 지수를 제시하였다. 일자리 정책 공급은 중앙정부나 지방정부 차원에서 실시되는 일자리 사업 현황을 토대로 파악할 수 있는데, 본 연구에서는 고용노동부 사업을 중심으로 일자리 사업 현황을 살펴보고 유형별 일자리 사업 지표를 제시하였다. 또한 정보 수요자이자 사용자인 지역별 일자리 사업담당자를 대상으로 사전 설문조사와 FGI를 실시하여 지표 및 지수에 대한 의견을 청취하고 개선방안을 도출하였으며, 지역 일자리 지표체계 개선을 위한 로드맵을 제시하였다.

저자의 다른 보고서

의 다른 보고서,
검색조건 입력
게시판명 목록이며 번호, 구분, 보고서명, 게시일, 저자, 조회수, 첨부파일 정보 제공
번호 구분 보고서명 게시일 저자 다운로드수 첨부파일

연관 보고서

의 연관 보고서,
검색조건 입력
게시판명 목록이며 번호, 구분, 보고서명, 게시일, 저자, 조회수, 첨부파일 정보 제공
번호 구분 보고서명 게시일 저자 다운로드수 첨부파일

Lo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