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성형 AI 활용에 따른 직업상담사의 역할 변화와 교육프로그램 개발

빠르게 발전하고 있는 생성형 인공지능(Generative AI)은 정보 탐색, 아이디어 도출, 문장 전환, 이미지 생성 등 다양한 기능을 갖추고 활용 분야를 급속도로 넓혀 나가고 …

연구사업보고서

생성형 AI 활용에 따른 직업상담사의 역할 변화

생성형 AI 활용에 따른 직업상담사의 역할 변화와 교육프로그램 개발

생성형 AI 활용에 따른 직업상담사의 역할 변화와 교육프로그램 개발

저자
김동규, 양인준, 이윤선, 이혜나, 김병숙, 손민정, 안윤정
게시일
2024-06-18
주제대상
진로,공통
조회수
1361
다운로드
841
바로보기
70
키워드

목차

제1장 서론 제1절 연구 배경 및 목적 제2절 연구 내용 및 방법 제2장 직업상담 분야에서 인공지능 활용 가능성 탐색 제1절 생성형 AI의 유형별 특징과 활용 제2절 직업상담 분야 인공지능 활용 관련 선행 연구 제3절 소결 제3장 직업상담 분야에서 생성형 AI의 활용 가능성 탐색 제1절 직업상담사의 대표 직무 선정 제2절 비저닝 워크숍 개요 제3절 비저닝 워크숍 결과 제4장 직업상담사의 직무 및 역량 변화 분석 제1절 생성형 AI의 활용 가능 직무 조사 제2절 직업상담사의 미래 직무변화 제3절 직업상담사의 미래 역량변화 제4절 소결 제5장 직업상담사의 미래교육프로그램 개발 제1절 기존 직업상담사 교육과정 고찰 제2절 미래 교육프로그램 제안 제6장 결론 및 시사점 제1절 결론 제2절 직업상담 분야 생성형 AI 활용 촉진을 위한 제언 제3절 연구 한계 및 향후 과제 참고 문헌 부록 부록 1. 직업상담사의 대표 직무 선정을 위한 설문조사지 부록 2. 직업상담에서 생성형 AI 활용 가능성 조사를 위한 델파이 조사지 부록 3. 직업상담 분야 생성형 AI 활용 사례(44선) 목록 부록 4. 직업상담 분야 생성형 AI 활용 사례 44선

요약

빠르게 발전하고 있는 생성형 인공지능(Generative AI)은 정보 탐색, 아이디어 도출, 문장 전환, 이미지 생성 등 다양한 기능을 갖추고 활용 분야를 급속도로 넓혀 나가고 있다. 생성형 AI는 직업상담 분야에서도 활용 가능성이 커지고 있는데, 고용서비스의 질을 높이고 부족한 상담 인력을 보완해 줄 것으로 기대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직업상담 분야에 생성형 AI의 활용 가능성을 탐색하고, 직업상담사의 생성형 AI 활용을 지원하기 위한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이다. 또한 실제 활용 사례를 제시함으로써 연구보고서의 활용성을 높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디지털 고용서비스를 한층 강화하는 데 이바지할 것으로 기대된다.

저자의 다른 보고서

의 다른 보고서,
검색조건 입력
게시판명 목록이며 번호, 구분, 보고서명, 게시일, 저자, 조회수, 첨부파일 정보 제공
번호 구분 보고서명 게시일 저자 다운로드수 첨부파일

연관 보고서

의 연관 보고서,
검색조건 입력
게시판명 목록이며 번호, 구분, 보고서명, 게시일, 저자, 조회수, 첨부파일 정보 제공
번호 구분 보고서명 게시일 저자 다운로드수 첨부파일

Lo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