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사업보고서
생성형 AI 활용에 따른 직업상담사의 역할 변화와 교육프로그램 개발
목차
제1장 서론
제1절 연구 배경 및 목적
제2절 연구 내용 및 방법
제2장 직업상담 분야에서 인공지능 활용 가능성 탐색
제1절 생성형 AI의 유형별 특징과 활용
제2절 직업상담 분야 인공지능 활용 관련 선행 연구
제3절 소결
제3장 직업상담 분야에서 생성형 AI의 활용 가능성 탐색
제1절 직업상담사의 대표 직무 선정
제2절 비저닝 워크숍 개요
제3절 비저닝 워크숍 결과
제4장 직업상담사의 직무 및 역량 변화 분석
제1절 생성형 AI의 활용 가능 직무 조사
제2절 직업상담사의 미래 직무변화
제3절 직업상담사의 미래 역량변화
제4절 소결
제5장 직업상담사의 미래교육프로그램 개발
제1절 기존 직업상담사 교육과정 고찰
제2절 미래 교육프로그램 제안
제6장 결론 및 시사점
제1절 결론
제2절 직업상담 분야 생성형 AI 활용 촉진을 위한 제언
제3절 연구 한계 및 향후 과제
참고 문헌
부록
부록 1. 직업상담사의 대표 직무 선정을 위한 설문조사지
부록 2. 직업상담에서 생성형 AI 활용 가능성 조사를 위한 델파이 조사지
부록 3. 직업상담 분야 생성형 AI 활용 사례(44선) 목록
부록 4. 직업상담 분야 생성형 AI 활용 사례 44선
요약
빠르게 발전하고 있는 생성형 인공지능(Generative AI)은 정보 탐색, 아이디어 도출, 문장 전환, 이미지 생성 등 다양한 기능을 갖추고 활용 분야를 급속도로 넓혀 나가고 있다. 생성형 AI는 직업상담 분야에서도 활용 가능성이 커지고 있는데, 고용서비스의 질을 높이고 부족한 상담 인력을 보완해 줄 것으로 기대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직업상담 분야에 생성형 AI의 활용 가능성을 탐색하고, 직업상담사의 생성형 AI 활용을 지원하기 위한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이다. 또한 실제 활용 사례를 제시함으로써 연구보고서의 활용성을 높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디지털 고용서비스를 한층 강화하는 데 이바지할 것으로 기대된다.
저자의 다른 보고서
의 다른 보고서, 건
| 번호 | 구분 | 보고서명 | 게시일 | 저자 | 다운로드수 | 첨부파일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