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사업보고서
청년패널2021 2차(2022) 조사 기초분석보고서
청년패널2021 2차(2022) 조사 기초분석보고서
목차
제1장 조사 개요 제1절 조사 개요 제2절 설문 변화 및 설문 내용 제3절 표본설계 제4절 조사 방법 및 결과 제5절 표본이탈 제6절 가중치 제2장 응답자 특성 제1절 학교 유형 제2절 인구학적 분포 제3절 가구 배경 제4절 경제활동 상태 제3장 학교생활 제1절 재학생 현황 제2절 졸업생 현황 제4장 취업자 제1절 취업자의 특성 제2절 임금근로자의 특성 제3절 임금근로자의 근로시간 제4절 임금근로자의 임금 제5절 임금근로자의 직장만족도 및 직업적합도 제6절 임금근로자의 직업선택기준 및 구직 방법 제7절 비임금근로자의 특성 제8절 비임금근로자의 근로시간 및 소득(수입) 제9절 비임금근로자의 직장만족도 및 직업적합도 제5장 취업준비자 제1절 취업준비자의 특성 제2절 취업준비 활동 제3절 희망일자리 특성 제6장 시험 준비·직업교육훈련·자격증 제1절 시험 준비 제2절 직업교육훈련 제3절 자격증 제7장 진로지도와 진로발달, 구직동기 제1절 진로지도 제2절 진로발달과 구직동기 제8장 경제활동 상태의 동태적 변화 제1절 경제활동 상태의 변화 제2절 청년층 유형의 동태적 변화
요약
청년패널 조사(Youth Panel)는 매년 청년층을 대상으로 학교생활, 사회・경제활동, 가계 배경 등을 매년 추적조사하는 종단면조사로서 2001년부터 2021 년까지 20년간 조사가 이루어졌다. 청년패널 조사는 2001년 만 15~29세에 해당하는 청년층 약 8천 명을 대상 으로 하는 청년패널2001(Youth Panel, YP2001)을 시작하여 2006년에 마지막 추적조사를 진행한 후 종료하였다. 2007년에는 새롭게 만 15~29세 청년층 1만 명을 대상으로 청년패널2007 코호트(YP2007)를 신규 구축하였다. 추적이 진행 되면서 빈 연령층에 관한 표본 보완의 필요성이 제기되어 청년패널2007의 경우 2015년에 기존 패널에 만 15~22세 청년 약 3천 명을 추가하는 패널 보완 작업을 수행하였다. 2020년까지 총 14년간 추적조사를 완료하였고, 현재 청년 패널2007의 조사 대상 연령 범위는 추가 표본을 포함하여 만 21~43세이다. 한편, 청년의 전체 연령대를 포괄하도록 설계되었던 청년패널2007은 약 1만 명의 표본으로 넓은 연령 범주의 청년을 대표함에 따라 노동시장 진입 후 다양한 변화가 있는 청년 부차 집단별 분석 시 유효 표본 수가 부족하여, 심층 분석을 위한 연구자료 활용에는 한계가 있었다. 특히 2020년 1월 「청년기본 법」 제정 등 법률상으로 청년층을 대표하는 시의성 높은 청년고용정책을 개발하고 지원하기에는 청년패널2007은 조사 대상의 14년간 추적에 따른 표본 에이징과 노동시장 진입시기인 20대 청년층의 유효 표본 수가 3천 명 수준으로 적어 자료 활용에 한계가 있었다. 이를 개선하고자 기존의 만 15~29세였던 조사 대상의 연령 범위를 추적조사의 필요성이 높은 노동시장 진입 전후 시점인 20대로 좁히고, 유효 표본 수 확보를 위해 표본 규모를 늘리는 방향에서, 2021년 새로이 만 19세에서 28세를 대상으로 하는 1만 2천 명가량의 청년패널 2021의 조사를 기획하게 되었다.
저자의 다른 보고서
| 번호 | 구분 | 보고서명 | 게시일 | 저자 | 다운로드수 | 첨부파일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