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패널 조사 심층 분석-코호트 변경에 따른 변화

본 연구에서는 새롭게 공개된 청년패널 2021을 바탕으로 과거 청년패널 코호트와 비교해 청년층의 장기간 학교생활과 노동시장 상황의 변화를 분석한다. 청년층의 학교생활…

연구사업보고서

청년패널 조사 심층 분석-코호트 변경에 따른 변화, 한국고용정보원

청년패널 조사 심층 분석-코호트 변경에 따른 변화

청년패널 조사 심층 분석-코호트 변경에 따른 변화

저자
권재혁, 박승훈
게시일
2024-11-07
주제대상
고용정보분석,공통
조회수
1136
다운로드
398
바로보기
89
키워드

목차

제1장 서론 제2장 청년패널 조사의 변화 제1절 개요 제2절 설문 변화 및 설문 내용 제3장 연구 사례 제1절 국내 사례 제2절 국외 사례 제4장 코호트의 주요 항목별 변화 제1절 개요 제2절 인적 속성 제3절 학교생활(대학) 제4절 취업자 제5절 임금, 근로시간 제6절 가구배경 제5장 학교생활과 일자리 변화 제1절 개요 제2절 학교생활의 변화 제3절 첫 일자리 제4절 학교생활과 첫 일자리 제5절 학교생활과 현재 일자리 제6절 일자리 변화 제6장 졸업 후 취업 여부 및 취업 기간 변화 제1절 개요 제2절 졸업 후 취업 여부 변화 제3절 졸업 후 1년 이내 취업 여부 변화 제4절 대학 졸업 후 첫 취업까지 기간 변화 제5절 모형 분석 제6절 소결 제7장 첫 일자리 유지 영향 요인 변화 제1절 개요 제2절 기초분석 제3절 모형 분석 제4절 통합 자료를 이용한 모형 분석 제5절 소결 제8장 요약 및 결론 참고 문헌

요약

본 연구에서는 새롭게 공개된 청년패널 2021을 바탕으로 과거 청년패널 코호트와 비교해 청년층의 장기간 학교생활과 노동시장 상황의 변화를 분석한다. 청년층의 학교생활과 일자리 상황 그리고 학교생활에서 노동시장으로 이행하는 과정 중 가장 중요한 첫 일자리의 기초적인 특성, 첫 일자리 취업 여부와 취업까지의 기간 그리고 첫 일자리 유지와 관련해 다양한 측면에서 분석 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먼저 청년패널 조사가 2001년 최초 시작으로 2007 코호트 작성 그리고 2021년에 새로운 코호트를 구축하면서 어떤 변화가 있었는지 조사구조, 설문 내용 등을 중심으로 비교하여 살펴보고, 3장에서는 패널 조사의 코호트 자료를 이용한 연구 사례를 살펴본다. 4장에서는 지금까지 조사된 3개 청년패널 조사를 기반으로 기본적인 청년층의 변화를 코호트로 분석한다. 5장에서는 청년층의 학업 상태 변화, 학교에서 노동시장으로 이동, 일자리 변화 등 청년패널의 주요 지표를 최근 변화 또는 과거 특정 기간의 동태 변화와 학교에서 노동시장에 처음 진입하면서 얻게 되는 첫 일자리를 학교 특성, 일자리 특성별로 어떤 특징적 변화가 있었는지 분석하였다. 6장에서는 대학 졸업 이후 취업 여부와 취업 기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빈도분석과 로지스틱 모형, 생존분석 모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7장에서는 이렇게 얻은 첫 일자리를 유지하는 데 영향을 주는 요인의 빈도분석과 통합 로지스틱모형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청년패널 2021 조사 결과는 올해 처음으로 1차 조사 결과가 공개되었다. 패널 조사 특성상 1차 조사 결과만으로는 이력 분석 등에는 한계가 있으나, 과거 청년패널 2001과 청년패널 2007 자료와의 비교로 많은 시사점을 얻을 수있다. 새로운 청년패널 2021의 자료 공개로 최근 청년층의 다양한 연구가 진행될 수 있을 것이며, 이 연구가 청년패널 자료의 이해도를 높이고, 청년층 코호트 연구와 청년정책 수립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저자의 다른 보고서

의 다른 보고서,
검색조건 입력
게시판명 목록이며 번호, 구분, 보고서명, 게시일, 저자, 조회수, 첨부파일 정보 제공
번호 구분 보고서명 게시일 저자 다운로드수 첨부파일

연관 보고서

의 연관 보고서,
검색조건 입력
게시판명 목록이며 번호, 구분, 보고서명, 게시일, 저자, 조회수, 첨부파일 정보 제공
번호 구분 보고서명 게시일 저자 다운로드수 첨부파일

Lo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