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사업보고서
2024년 지역형 플러스 일자리사업 운영 및 평가
2024년 지역형 플러스 일자리사업 운영 및 평가
목차
제1장 서론
제1절 사업 배경 및 목적
제2절 사업 추진체계 및 방법
제2장 지역형 플러스 일자리사업 운영 현황
제1절 지역별 사업 심사 및 선정 현황
제2절 지역별 사업 주요 내용
제3장 지역형 플러스 일자리사업 모니터링 및 중간점검
제1절 모니터링 및 중간점검
제2절 산업별 간담회(워크숍)를 통한 모니터링
제4장 지역형 플러스 일자리사업 의견 수렴
제1절 의견 수렴 개요
제2절 지역형 플러스 일자리사업 운영·관리 관계자 의견 수렴
제3절 지역 일자리사업 전문가 자문
제5장 결론
제1절 지역형 플러스 일자리사업 요약
제2절 지역형 플러스 일자리사업의 종합 성과 및 개선과제 도출
참고문헌
부록 1. 지역형 플러스 일자리사업 관련자 의견 수렴 세부 내용(별첨)
부록 2. 지역형 플러스 일자리사업 전문가 자문 의견서(별첨)
요약
사업의 배경 및 목적
□ 세계경제 성장 둔화 등 다중 위기 속에서도 산업 현장에 발생하는 빈 일자리 문제가 심화되고 있음
◦ 코로나 팬데믹 같은 일시적, 환경적 요인(비대면 일자리 확산, 업종 간 인력이동)과 특정 산업에 낙후된 근로환경, 노동시장의 이중구조 등 구조적 요인까지 빈 일자리를 심화하는 요인이 산재함
□ 정부는 빈 일자리를 해소하기 위한 지속적 노력 중 하나로, 지역 일자리사업으로 ‘지역산업 맞춤형 일자리창출 지원사업’(이하 ‘지산맞 사업’)을 활성화하고 있음
◦ 지산맞 사업 중 2023년도에 처음 운영된 ‘지역형 플러스 일자리사업’은 특히 지역별로 심화되고 있는 빈 일자리 산업을 대상으로 한 대표적 지원 사업임
□ 본 연구에서는 빈 일자리 해소 방안 중 하나로 지역 일자리사업으로 대표되는 지산맞 사업 중 지역형 플러스 일자리사업의 2024년도 운영 현황을 살펴보고자 함
◦ 먼저 2024년도에 운영된 지역형 플러스 일자리사업 17개 시도의 지역별, 산업별 운영 현황을 살펴보았고, 사업의 운영 과정을 전반적으로 모니터링하여 현황을 점검하였으며, 중간점검을 토대로 개선 방향을 모색함
◦ 또한 지역사업 운영․관리에 참여한 관계자와 일자리 전문가에게 지역형 플러스 일자리사업의 운영 전반에 관해 의견을 수렴함
◦ 이를 토대로 지역형 플러스 일자리사업의 향후 사업 운영과 연계를 위한 개선 방안 등을 도출하고자 함
저자의 다른 보고서
| 번호 | 구분 | 보고서명 | 게시일 | 저자 | 다운로드수 | 첨부파일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