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사업보고서
한국형 Job Zone 개발
한국형 Job Zone 개발
목차
제1장 사업 개요
제1절 사업 배경 및 목적
제2절 사업 내용 및 추진 방법
제2장 국내외 유사 사례
제1절 미국 O*Net의 Job Zone
제2절 한국표준직업분류의 직능수준
제3절 한국형 국가역량체계(KQF)의 수준 체계
제4절 국가직무능력표준(NCS)의 수준 체계
제5절 한국직업사전(KDOT)
제3장 직업별 Job Zone 평정
제1절 한국형 Job Zone의 개념
제2절 한국형 Job Zone의 평정 기준 및 절차
제3절 8수준 체계의 한국형 Job Zone 최종안
제4절 5수준 체계의 한국형 Job Zone 최종안
제4장 직업별 Job Zone 부가정보 개발
제1절 부가정보의 개발 목적
제2절 부가정보의 내용
제5장 사업 수행 결과 정리
제1절 한국형 Job Zone 개발 요약
제2절 한국형 Job Zone 활용 시 주의점
제3절 향후 과제
참고문헌
부록 1. 537개 직업별 Job Zone 부가정보
부록 2. 델파이 조사를 위한 직업별 기초정보
부록 3. 2차 델파이 조사 결과
요약
< 사업 배경 및 목적 >
□ 한국고용정보원은 워크넷 중심의 대국민 직업정보서비스를 통해 구직자, 청(소)년 등 국민의 합리적 직업선택과 경력개발을 지원함은 물론 직업·경력개발 상담전문가, 교육·훈련기관 담당자, 기업 인사관리자, 정책입안자 등에게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음.
□ ’23년도부터 정부 차원에서 <임금직무정보시스템>(www.wage.go.kr)과 워크넷의 <한국직업정보(KNOW)>를 기반으로 한 <통합형 임금직무정보시스템(한국형 O*Net, K-O*Net)> 개발을 추진 중임.
◦ <통합형 임금직무정보시스템>은 임금정보와 직무정보를 연계한 통합형 플랫폼으로서 직업별 임금정보를 학력별, 연령별, 직급별, 연차별, 근속연수별로 상세하게 검색이 가능하고, 더불어 관련 직무정보와 결합하여 서비스될 예정임.
□ 김한준 외(2022)는 <통합형 임금직무정보시스템>의 콘텐츠 강화를 위해 미국 O*Net에는 존재하나 우리나라 <한국직업정보>에는 아직 개발되지 않은 직업정보로 직능수준(job zone), 기술과 도구(tools and technology) 직업현장에서 업무를 수행하는 데 필요한 도구, 장비, 소프트웨어 등을 의미함.
등의 개발 필요성을 제기함.
□ 본 연구의 목적은 <통합형 임금직무정보시스템>의 근간이 될 <한국직업정보>의 수록직업(537개)에 대해 Job Zone(직능수준)을 개발하여, <통합형 임금직무정보시스템>에서 구축하고자 하는 “직능수준별 검색” 항목의 틀(frame)을 제공하는 것임.
◦ 또한 직업별 Job Zone(직능수준)을 평정하는 것 외에 직업별로 직능수준에 대한 이해를 높이기 위한 부가정보를 개발할 예정임.
- ‘직능수준 부가정보’란, 입직 또는 평균 수준의 업무수행에 필요한 역량을 갖추기 위한 준비 과정 또는 역량개발 과정에 대한 정보임.
< 사업 내용 >
□ 본 사업의 주요 목적은 워크넷 <한국직업정보(KNOW)>의 537개 직업에 대한 직능수준(skill level)을 기반으로 Job Zone을 개발한 것임.
◦ Job Zone은 미국 O*Net에서 제공하는 서비스(검색 메뉴)의 일종으로서 “일(work)을 수행하는 데 필요한 교육(education), 관련 경험(experience), 현장훈련(on-the-job training), SVP(숙련기간)의 수준이 유사한 직업의 그룹”으로 정의되며, 5단계 수준 체계로 구성됨.
□ 사업 수행을 위해 우선, 한국형 Job Zone이 한국적 노동시장 상황과 인적자원개발 정책 프레임과 부합하도록 정의, 수준 체계 등을 설정하였음.
◦ 한국의 고용시장과 인적자원개발 정책[국가역량체계(KQF), 직무능력표준(NCS) 등]과의 연계성을 고려할 때, 한국형 O*Net에 맞는 Job Zone의 개념 및 수준 체계 설정이 필요함.
□ 그리고 537개 직업에 대해 Job Zone 부가정보(일반적으로 필요한 정규교육, 직업훈련, 사전 직무경험 등)를 개발함으로써 직업 각각의 Job Zone 수준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자 하였음.
◦ 미국 O*Net의 경우, Job Zone 5단계에 대해서만 필요한 교육(education), 관련 경험(experience), 현장훈련(on-the-job training), SVP(숙련기간)에 대한 일반적인 설명을 제공하고 있음.
저자의 다른 보고서
| 번호 | 구분 | 보고서명 | 게시일 | 저자 | 다운로드수 | 첨부파일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