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사업보고서
고용보험DB를 활용한 연령계층별 노동이동 분석
고용보험DB를 활용한 연령계층별 노동이동 분석
목차
제1장 서론
제1절 연구 배경과 목적
제2절 분석 자료와 방법
제2장 선행연구 검토
제3장 연령계층별 노동이동 현황과 특성 비교
제1절 연령계층의 정의와 출생 코호트
제2절 연령계층별 주된 일자리 특성
제3절 연령계층별 노동이동의 특징
제4절 소결
제4장 정년퇴직 고령층의 노동이동
제1절 연구 배경 및 목적
제2절 고령층의 현재 일자리 분석
제3절 고령층의 정년퇴직 일자리 분석
제4절 고령층의 정년퇴직 후 일자리 분석
제5절 소결
제5장 출산 부모의 일자리와 노동이동
제1절 연구 배경과 분석 자료
제2절 출산 부모 현황
제3절 출산 부모의 노동이동
제4절 소결
제6장 결론
참고 문헌
요약
이 연구는 고용보험DB를 활용하여 노동시장에서 연령계층별 이행 행태에 따른 유형과 그 내용을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 결과 우리는 한국의 경제적 지위와 사회적, 문화적 수준이 체감될 정도로 크게 바뀌었지만 노동시장의 변화 속도는 상대적으로 빠르지 않다는 잠정적인 결론을 얻었다. 연령계층별 노동이동이라는 연구 주제에서 얻고자 한 것은 다름 아니라 노동이동의 결과로 우리가 처하게 된 상황을 이해하는 것이었다. 이를 위해 먼저 연령계층을 정의하고 개괄적으로 분석한 뒤 특별히 문제가 되는 정년퇴직 고령층과 경력단절을 겪는 출산 부모를 대상으로 분석했다.
먼저 3장에서는 노동이동을 분석하기 위한 연령계층을 정의하고, 정의된 출생 코호트를 기준으로 2018~2023년의 노동이동 현황과 특성을 파악하고자 했다. 4장에서는 고용보험 행정DB 중 고용보험자격 취득・상실DB를 이용하여 이력DB를 구축하고 이를 이용하여 1963년 이전 출생 고령자의 현재 일자리, 정년퇴직 일자리, 정년퇴직 후 첫번째부터 네 번째 일자리까지의 특성을 분석함으로써 정년퇴직한 고령자의 노동이동 양상을 분석하였다. 5장에서는 출산 여성의 경력단절 문제에서 나아가 출산 부모의 노동이동 실태를 확인하고자 했다.
저자의 다른 보고서
| 번호 | 구분 | 보고서명 | 게시일 | 저자 | 다운로드수 | 첨부파일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