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전환에 따른 스마트농업 고용에 관한 연구

본 연구는 탄소중립과 스마트농업을 연결한 태백시의 사례를 근간으로 스마트농업의 탄소중립 가능성과 일자리 전환 상황을 살펴보았다. 국내 최대 석탄 생산지였던 태백시…

연구사업보고서

표지_스마트농업

산업전환에 따른 스마트농업 고용에 관한 연구

산업전환에 따른 스마트농업 고용에 관한 연구

저자
박세정C, 이성재, 권한희, 문상균, 홍성표, 조홍용
게시일
2025-06-25
주제대상
일자리사업,공통
조회수
330
다운로드
132
바로보기
35
키워드

목차

제1장 서론 

제1절 산업전환과 스마트농업 

제2절 연구 대상 및 주제 관련 이슈

제3절 농업과 고용에 관한 선행연구 


제2장 탄소중립과 스마트농업

제1절 태백시 스마트팜 운영 사례 

제2절 탄소중립과 스마트농업 관련 국내외 정책


제3장 국내 농업 관련 현황 

제1절 국내 농업 현황 

제2절 스마트농업 연관 산업 현황

제3절 농업 관련 고용노동부 교육 현황 


제4장 스마트농업과 고용 분석 

제1절 일반 농가 및 스마트팜 대상 실태조사 

제2절 분석 결과 


제5장 스마트농업 직종 교육훈련 과정 개발 

제1절 스마트농업 관련 직업 및 직무 

제2절 스마트팜 관련 직업 전문가 의견 수렴 

제3절 스마트팜 관련 직업 직무 분석 

제4절 스마트팜 직종 교육훈련 과정 


제6장 결론 

제1절 요약 

제2절 정책 제언 


참고문헌 

부록 


요약

본 연구는 탄소중립과 스마트농업을 연결한 태백시의 사례를 근간으로 스마트농업의 탄소중립 가능성과 일자리 전환 상황을 살펴보았다. 국내 최대 석탄 생산지였던 태백시의 장성광업소가 폐쇄되면서 탄광의 지열과 냉수를 활용한 스마트팜을 조성하였으며, 탄광 근로자를 스마트팜으로 전직을 유도하면서 일자리 전환이 가능하도록 하는 지역뉴딜정책을 태백시에서 진행하였다.

정권의 변화에 따른 관심과 지원 예산의 감소, 탄광의 지열과 냉수를 활용하지 못한 채 운영되는 스마트팜, 시설 설치 비용의 증가와 예산 감소로 발생한 스마트팜 규모 축소는 결국 탄광 근로자의 일자리 전환에 실패하였으며 해당 정책 또한 올해를 기점으로 끝날 것으로 예정되었다.

태백시의 뉴딜정책은 실패하였지만, 본 연구는 이 사례를 바탕으로 스마트농업의 탄소중립과 관련해 크게 네 가지 부분을 살펴보았다. 첫 번째는 미국과 일본의 스마트농업 분야의 탄소중립을 위한 법과 지원 정책을 살펴보았다. 두 번째는 스마트농업 분야의 기술 개발업체와 스마트팜 농가를 대상으로 인터뷰를 진행하여 산업의 현황과 탄소중립 관련자의 생각을 확인했다.

세 번째로 스마트팜과 일반 농가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여 두 농가의 차이와 에너지 사용량, 탄소중립 관련 생각과 직업 훈련, 유망 직업, 필요 정책을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스마트농업 분야의 3개 유망 직업(스마트팜 재배원, 스마트팜 소프트웨어 개발자, 스마트팜 컨설턴트)을 대상으로 한 직업 프로그램을 제시하였다.

저자의 다른 보고서

의 다른 보고서,
검색조건 입력
게시판명 목록이며 번호, 구분, 보고서명, 게시일, 저자, 조회수, 첨부파일 정보 제공
번호 구분 보고서명 게시일 저자 다운로드수 첨부파일

연관 보고서

의 연관 보고서,
검색조건 입력
게시판명 목록이며 번호, 구분, 보고서명, 게시일, 저자, 조회수, 첨부파일 정보 제공
번호 구분 보고서명 게시일 저자 다운로드수 첨부파일

Lo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