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장기 인력수급 전망 2023~2033

○ 중장기 인력수급 전망은 지속가능한 경제성장에 필요한 국가 인적자원의 양성 및 효율적 배분을 위한 기초자료 제공과 경제 주체들에 개인의 진로 및 직업선택과 기업의…

연구사업보고서

표지_중장기

중장기 인력수급 전망 2023~2033

중장기 인력수급 전망 2023~2033

저자
정순기, 이시균, 정재현, 박세정A, 홍현균, 김새봄, 이혜연, 박승훈, 박미화, 박비곤, 김진성, 이선호, 공예림, 김정현, 윤자영, 전병유
게시일
2025-06-27
주제대상
인력수급전망,공통
조회수
375
다운로드
289
바로보기
77
키워드

목차

제1장 서론 

제1절 인력수급 전망의 목적 및 필요성

제2절 중장기 인력수급 전망 체계 

제3절 인력수급 영향 요인에 관대한 선행연구 탐색 


제2장 사회적 변화가 노동 공급에 미치는 영향

제1절 서론

제2절 인구 구조인구구조의 변화

제3절 일하는 방식의 변화 

제4절 시사점과 정책 제언 


제3장 외국인 유입 추이와 경제활동 현황 

제1절 서론 

제2절 외국인 유입 추이와 특징 

제3절 체류외국인 규모와 외국인의 경제활동 현황 

제4절 소결 


제4장 중장기 인력공급 전망 2023~2033 

제1절 인구구조 변화와 최근 공급 부문 특징

제2절 생산가능인구 전망 

제3절 경제활동인구 전망

제4절 경제활동참가율 전망


제5장 인공지능(AI) 기술 변화가 인력수급 전망에 미치는 영향

제1절 서론 

제2절 AI 자동화 지표 측정 방법 

제3절 AI와 인력수급 전망

제4절 요약 및 결론 


제6장 경제성장 및 산업별 부가가치 전망

제1절 서론 

제2절 대내외 경제 환경 변화 분석 

제3절 국내 경제의 성장 및 산업구조 전망 

제4절 소결 및 시사점 


제7장 산업별 취업자 수 전망 

제1절 산업 대분류별 취업자 수 전망

제2절 농업, 임업 및 어업 

제3절 광업 

제4절 제조업 

제5절 전기, 가스, 증기 및 공기 조절 공급업

제6절 수도, 하수 및 폐기물 처리, 원료 재생업 

제7절 건설업 

제8절 도매 및 소매업 

제9절 운수 및 창고업 

제10절 숙박 및 음식점업

제11절 정보통신업

제12절 금융 및 보험업 

제13절 부동산업 

제14절 전문, 과학 및 기술 서비스업 

제15절 사업시설 관리, 사업 지원 및 임대 서비스업 

제16절 공공 행정, 국방 및 사회보장 행정 

제17절 교육 서비스업 

제18절 보건업 및 사회복지 서비스업 

제19절 예술, 스포츠 및 여가 관련 서비스업 

제20절 협회 및 단체, 수리 및 기타 개인 서비스업 

제21절 가구 내 고용 활동 및 달리 분류되지 않은 자가소비 생산 활동 

제22절 국제 및 외국 기관 


제8장 직업별 취업자 수 전망 

제1절 전망 방법과 범위 

제2절 직업별 취업자 수 전망 결과 


제9장 구인 인력수요 전망 

제1절 전망 방법과 범위 

제2절 직업별 대체수요 추정 

제3절 직업별 대체수요 전망 

제4절 직업별 구인 인력수요 전망

 

제10장 부문별 인력수요 전망 

제1절 제조업 직업별 취업자 수 전망 

제2절 서비스업 직업별 취업자 수 전망 

제3절 사회 서비스 인력수요 전망 

제4절 과학기술 인력수요 전망 


제11장 중장기 인력수급 전망 결과 및 시사점 

제1절 중장기 인력수급 전망 개괄 

제2절 정책적 시사점 


참고문헌 


부록 1 전망 자료 및 전망 모형

제1절 인력공급 전망 모형 

제2절 인력수요 전망 모형 

부표 1 산업 중분류별 취업계수 전망 

부표 2 산업 중분류별 취업자 수 전망 

부표 3 산업 소분류별 취업자 수 전망 

부표 4 직업 중⋅소분류별 취업자 수 전망 

부표 5 직업 세분류별 취업자 수 전망 

부표 6 직업 소분류별 구인인력수요 전망 

부표 7 직업 세분류별 구인인력수요 전망 

부표 8 산업대분류⋅직업대분류 고용 현황 및 변화 

부표 9 행정(보고) 통계의 자료 출처 

요약

○ 중장기 인력수급 전망은 지속가능한 경제성장에 필요한 국가 인적자원의 양성 및 효율적 배분을 위한 기초자료 제공과 경제 주체들에 개인의 진로 및 직업선택과 기업의 고용전략 수립에 기여하는 데 주된 목적을 두고 수행하는 범정부 차원의 과제임

○ 전망 기간에 노동공급 측면에서는 저출산⋅고령화 현상 심화에 따라 본격적인 인력공급제약 효과가 나타날 것으로 전망되고, 노동수요 측면에서는 인구구조 변화와 디지털 전환, 비대면 확산과 연관되는 산업⋅직업을 중심으로 취업자 수 전망의 방향성과 규모에서 명암이 공존할 것으로 전망됨

저자의 다른 보고서

의 다른 보고서,
검색조건 입력
게시판명 목록이며 번호, 구분, 보고서명, 게시일, 저자, 조회수, 첨부파일 정보 제공
번호 구분 보고서명 게시일 저자 다운로드수 첨부파일

연관 보고서

의 연관 보고서,
검색조건 입력
게시판명 목록이며 번호, 구분, 보고서명, 게시일, 저자, 조회수, 첨부파일 정보 제공
번호 구분 보고서명 게시일 저자 다운로드수 첨부파일

Lo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