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자리 전환(job-to-job transitions)의 노동시장 영향 연구

본 연구는 일자리 전환(JJ: job-to-job transitions)에 관한 다각적인 노동시장 영향을 분석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한다. 고용보험 행정자료상 이직자 수는 2022년 기준…

연구사업보고서

표지_일자리전환 노동영향

일자리 전환(job-to-job transitions)의 노동시장 영향 연구

일자리 전환(job-to-job transitions)의 노동시장 영향 연구

저자
이시균, 박진희
게시일
2025-07-10
주제대상
고용서비스,고용정보분석,공통
조회수
297
다운로드
164
바로보기
35
키워드

목차

제1장 서론

제1절 연구 목적

제2절 보고서 구성


제2장 일자리 전환에 관한 개론

제1절 일자리 전환에 관한 기존 연구 검토

제2절 일자리 전환의 정의 및 측정

제3절 일자리 전환의 현황 및 추이


제3장 일자리 전환과 고용

제1절 일자리 전환의 변동 분석

제2절 일자리 전환의 결정요인 분석

제3절 일자리 전환의 일자리 재배치 영향 분석

제4절 소결


제4장 일자리 전환과 임금

제1절 문제 제기

제2절 일자리 전환의 임금 변화 효과

제3절 소결


제5장 일자리 전환과 고용서비스

제1절 문제 제기

제2절 재직 중 공공고용서비스 참여 현황

제3절 재직 중 고용서비스 참여 효과

제4절 소결


제6장 결론

제1절 주요 연구 결과

제2절 정책적 시사점


참고문헌

요약

본 연구는 일자리 전환(JJ: job-to-job transitions)에 관한 다각적인 노동시장 영향을 분석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한다. 고용보험 행정자료상 이직자 수는 2022년 기준으로 750만 명을 넘어 전체 피보험자 중 50% 이상으로 파악되며, 그중 미취업 기간이 거의 없는 일자리 전환 비율이 25~30% 수준으로 매우 높게 나타났다. 일자리 전환 비율이 높지만 일자리 전환이 발생하는 원인이나 노동시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는 매우 미미한 수준이다. 일자리 전환에 관한 국내 연구에 비해 해외 연구는 많은 편이다. 국내 연구가 부족한 것은 일자리 전환을 연구 분석할 적절한 분석 자료가 미비하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고용보험 행정자료와 노동시장 정책 행정자료를 활용하면 임금근로자를 대상으로 한 일자리 전환의 현황을 파악할 수 있으며, 노동시장에 미치는 영향을 다각적으로 분석할 수 있다.

저자의 다른 보고서

의 다른 보고서,
검색조건 입력
게시판명 목록이며 번호, 구분, 보고서명, 게시일, 저자, 조회수, 첨부파일 정보 제공
번호 구분 보고서명 게시일 저자 다운로드수 첨부파일

연관 보고서

의 연관 보고서,
검색조건 입력
게시판명 목록이며 번호, 구분, 보고서명, 게시일, 저자, 조회수, 첨부파일 정보 제공
번호 구분 보고서명 게시일 저자 다운로드수 첨부파일

Lo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