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사업보고서
2024 KEIS-고용DB 분석
2024 KEIS-고용DB 분석
목차
제1장 서론
제2장 고용DB로 본 2023년 노동시장 현황과 특징
제1절 고용보험 피보험자 현황
제2절 2023년 고용보험 피보험자 증가 특징
제3절 사업체 변동에 따른 고용 변동
제4절 소결
제3장 고용DB로 보는 청년 고용 현황
제1절 개요
제2절 청년층 선호 일자리의 특성 분석
제3절 구인 및 실업자 직업훈련 동향
제4절 소결
제4장 고용DB로 보는 신중년 고용 현황
제1절 서론
제2절 최근 신중년 고용 현황
제3절 일자리 이동(재취득) 현황
제4절 소결
제5장 고용DB로 보는 30대 여성 고용과 출산
제1절 30대 여성 고용 현황
제2절 30대 여성 고용 변동
제3절 저출산과 여성 고용
제4절 소결
제6장 남성 육아휴직 결정요인 분석
제1절 연구 배경
제2절 기존 국내외 연구
제3절 육아휴직제도 개요 및 현황
제4절 남성 육아휴직 결정 요인 분석
제5절 소결
제7장 고령자 고용안정지원금
제1절 들어가기
제2절 고령자 대상 고용안정지원금의 현황
제3절 고령자 대상 고용안정지원금 사업장의 특징
제4절 고령자 고용촉진지원금의 고령자 고용 증가 효과
제5절 소결
제8장 노동시장 고령화와 실업급여
제1절 구직급여 수급자 현황
제2절 고령층 구직급여 수급자 증가 특징
제3절 고령층의 실업급여 재취업 효과
제4절 소결
제9장 신중년 직업훈련 참여 및 취업성과 성과
제1절 신중년 실업자 직업훈련 참여 현황
제2절 신중년 훈련과정 및 훈련직종 분석
제3절 신중년 직업훈련 성과 분석
제4절 소결
제10장 요약 및 시사점
참고 문헌
부 록
요약
본 연구는 고용DB를 이용하여 최근 노동시장의 특징과 청년, 신중년, 여성 등 정책 대상별 고용 현황을 분석하고, 고용보험 기금을 통해 지원되는 사업을 고령자 중심으로 정책 효과를 살
펴보았다. 본 연구에서 밝히고 있는 주요 내용을 장별로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2장에서는 고용보험 피보험자DB를 이용하여 2023년 고용 특징을 살펴보았다.
3장에서는 고용DB를 이용하여 청년층이 선호하는 일자리를 선별하고 해당 사업장의 특성을 살펴보았다.
4장에서는 신중년(50~69세)을 대상으로 고용보험 피보험자격 취득·상실 연계자료를 활용하여 최근 고용 현황을 알아보고, 고용 유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5장에서는 30대 여성 취업자 증가 요인과 고용보험DB상에서 나타나는 증가 특징을 살펴보았다.
6장에서는 남성 육아휴직 현황을 살펴보고, 남성 육아휴직 결정요인을 실증분석하였다.
7장에서는 고령자 고용안정지원금인 고령자계속고용장려금과 고령자고용지원금 지원 사업장 현황과 특징을 정리하고, 고령자 고령안정지원금이 고령자 고용증가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였다.
8장에서는 노동시장 고령화가 심화되면서 실업급여 수급자가 고령층을 중심으로 증가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9장에서는 한국고용정보원의 워크넷 구직DB, 고용보험 피보험자DB, 실업자 직업훈련DB를 이용하여 신중년의 직업훈련 참여 현황을 파악하고 취업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있다.
저자의 다른 보고서
| 번호 | 구분 | 보고서명 | 게시일 | 저자 | 다운로드수 | 첨부파일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