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장기 인력수급 전망 2013~2023(I)

지난 10년을 되돌아보면 우리나라는 몇 차례의 경제위기를 겪긴 했지만 인구 및 노동력은 지속적으로 증가하였고, 안정적인 경제성장도 달성한 바 있다.그렇다면 향후 10년…

연구사업보고서

표지1

중장기 인력수급 전망 2013~2023(I)

중장기 인력수급 전망 2013~2023(I)

저자
이시균, 강민정, 홍현균, 방글, 공정승, 윤정향, 심정민, 지민웅, 안주엽, 전병유, 김유선, 홍성민, 박성재, 설동훈, 이진면
게시일
2014-12-30
주제대상
인력수급전망,공통
조회수
6407
다운로드
2784
바로보기
55
키워드

목차

제1장 서론 제2장 전망 자료 및 전망 모형 제3장 경제성장 및 산업별 부가가치 저망 제4장 학령인구 감소에 따른 인력수급 환경 변화 제5장 베이비붐 세대의 고령화로 인한 인력수급 환경 변화 제6장 외국인 인력수급 분석 제7장 정년 연장과 고용 제8장 근로시간 단축이 고용에 미치는 효과 분석 참고문헌

요약

지난 10년을 되돌아보면 우리나라는 몇 차례의 경제위기를 겪긴 했지만 인구 및 노동력은 지속적으로 증가하였고, 안정적인 경제성장도 달성한 바 있다.그렇다면 향후 10년 후에도 지속적인 경제성장이 가능하고, 이를 뒷받침 해줄 인구 및 취업자의 증가도 안정적으로 지속될 수 있을것인가? 이러한 질문은 불확실성이 커진 글로벌시대에 살고 있는 현재 우리들에게 매우 중요하다. 특히 저출산으로 인해 중장기적으로 인구증가 둔화 현상이 본격적으로 나타날 것으로 예상되기에, 이러한 변화가 교육과 노동시장에 미치는 영향을 미리 파악하는 것은 이에 대비하기 위해서 반드시 필요하다. 중장기 인력수급 전망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향후 10년후 인구, 학령인구, 생산가능인구, 경제활동인구, 취업자의 변화를 예측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한다.

저자의 다른 보고서

의 다른 보고서,
검색조건 입력
게시판명 목록이며 번호, 구분, 보고서명, 게시일, 저자, 조회수, 첨부파일 정보 제공
번호 구분 보고서명 게시일 저자 다운로드수 첨부파일

연관 보고서

의 연관 보고서,
검색조건 입력
게시판명 목록이며 번호, 구분, 보고서명, 게시일, 저자, 조회수, 첨부파일 정보 제공
번호 구분 보고서명 게시일 저자 다운로드수 첨부파일

Lo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