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장기 인력수급 전망 2013~2023(II)

생산가능인구를 전망하기 위해서 우선 인구 추계 결과를 도출한다. 기존 인구 추계는 장래인구추계 결과를 활용하여 도출하였다. 그러나 장래인 추계를 활용하게 되면 속박…

연구사업보고서

표지2

중장기 인력수급 전망 2013~2023(II)

중장기 인력수급 전망 2013~2023(II)

저자
이시균, 강민정, 홍현균, 방글, 공정승, 윤정향, 심정민, 지민웅, 안주엽, 전병유, 김유선, 홍성민, 박성재, 설동훈, 이진면
게시일
2014-12-30
주제대상
인력수급전망,공통
조회수
6656
다운로드
3389
바로보기
36
키워드

목차

제9장 중장기 인력공급 전망 제10장 산업별 인력수요 전망 제11장 직업별 인력수요 전망 제12장 신규인력 수급차 전망 참고문헌

요약

생산가능인구를 전망하기 위해서 우선 인구 추계 결과를 도출한다. 기존 인구 추계는 장래인구추계 결과를 활용하여 도출하였다. 그러나 장래인 추계를 활용하게 되면 속박 인구의 추계를 필요로 한다. 장래인구추계와 경제활동인구조사상의 생산가능인구의 차이가 발생한다. 2013년 기준 경제활동인구조사상 15세 이상 생산가능인구는 42,096천 명인 반면 장래 인구추계 자료에 의거한 15세 이상 인구는 42,850천 명으로 754천 명의 차이가 발생한다. 이러한 차이는 주로 속박 인구의 규모로 파악되는데, 속박 인구란 군인, 의무경찰, 수감자 등과 같이 강제적으로 경제활동에 참가할 수 없는 사람들이다. 장래인구추계상의 15세 이상 인구와 경제활동인구의 생산가능인구의 차이를 연도별로 살펴보면, 속박 인구의 추이 를 살펴볼 수 있다.

저자의 다른 보고서

의 다른 보고서,
검색조건 입력
게시판명 목록이며 번호, 구분, 보고서명, 게시일, 저자, 조회수, 첨부파일 정보 제공
번호 구분 보고서명 게시일 저자 다운로드수 첨부파일

연관 보고서

의 연관 보고서,
검색조건 입력
게시판명 목록이며 번호, 구분, 보고서명, 게시일, 저자, 조회수, 첨부파일 정보 제공
번호 구분 보고서명 게시일 저자 다운로드수 첨부파일

Lo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