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장기 인력수급 전망 2013~2023(III)

우리나라에서 창조경제의 개념이 본격적으로 논의된 것은 현 정권인 박근혜 정부의 첫 번째 국정 목표로 ‘일자리 중심의 창조경제’가 부각된 이후이다. 여기서 새로운 경…

연구사업보고서

표지3

중장기 인력수급 전망 2013~2023(III)

중장기 인력수급 전망 2013~2023(III)

저자
이시균, 강민정, 홍현균, 방글, 공정승, 윤정향, 심정민, 지민웅, 안주엽, 전병유, 김유선, 홍성민, 박성재, 설동훈, 이진면
게시일
2014-12-30
주제대상
인력수급전망,공통
조회수
6920
다운로드
2916
바로보기
39
키워드

목차

제13장 창조경제 부문의 고용 변동 분석 및 인력수요 전망 제14장 제조업 고용 변동 요인 분석 및 인력수요 전망 제15장 사회서비스 고용 변동 분석 및 인력수요 전망 제16장 과학기술 인력의 고용 변동 분석 및 인력수요 전망 제17장 요약 및 정책적 시사점 참고문헌 부록

요약

우리나라에서 창조경제의 개념이 본격적으로 논의된 것은 현 정권인 박근혜 정부의 첫 번째 국정 목표로 ‘일자리 중심의 창조경제’가 부각된 이후이다. 여기서 새로운 경제 패러다임으로 제시한 창조경제는 ‘개인의 창의성과 과학기술을 바탕으로 세계시장을 리드하는 경제 시스템’을 의미한다.

저자의 다른 보고서

의 다른 보고서,
검색조건 입력
게시판명 목록이며 번호, 구분, 보고서명, 게시일, 저자, 조회수, 첨부파일 정보 제공
번호 구분 보고서명 게시일 저자 다운로드수 첨부파일

연관 보고서

의 연관 보고서,
검색조건 입력
게시판명 목록이며 번호, 구분, 보고서명, 게시일, 저자, 조회수, 첨부파일 정보 제공
번호 구분 보고서명 게시일 저자 다운로드수 첨부파일

Lo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