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시간 근로 관행 및 제도개선 정책 고용영향평가

○ 장시간근로는 산업재해 증가, 근로자 건강 위협, 가족관계 약화, 실업 양산이라는 부작용을 초래할 수 있고, 나아가 기업의 고용창출 여력을 축소하여 ‘고용 없는 성장…

연구사업보고서

1

장시간 근로 관행 및 제도개선 정책 고용영향평가

장시간 근로 관행 및 제도개선 정책 고용영향평가

저자
한국고용정보원, 정광호, 금현섭, 권일웅, 최연태, 강영주, 전대성, 최희진, 김민영
게시일
2013-03-07
주제대상
공통
조회수
15457
다운로드
1335
바로보기
38
키워드

목차

[목차] 제1장 서론 제2장 이론적 배경 제3장 법정근로시간 단축의 효과분석 제4장 근로시간 단축과 고용창출 사례조사 제5장 근로시간 실태조사 제6장 해외 근로시간 단축의 현황과 효과에 관한 연구 제7장 결론 참고문헌 부록

요약

○ 장시간근로는 산업재해 증가, 근로자 건강 위협, 가족관계 약화, 실업 양산이라는 부작용을 초래할 수 있고, 나아가 기업의 고용창출 여력을 축소하여 ‘고용 없는 성장’을 심화시킬우려가 큼

저자의 다른 보고서

의 다른 보고서,
검색조건 입력
게시판명 목록이며 번호, 구분, 보고서명, 게시일, 저자, 조회수, 첨부파일 정보 제공
번호 구분 보고서명 게시일 저자 다운로드수 첨부파일

연관 보고서

의 연관 보고서,
검색조건 입력
게시판명 목록이며 번호, 구분, 보고서명, 게시일, 저자, 조회수, 첨부파일 정보 제공
번호 구분 보고서명 게시일 저자 다운로드수 첨부파일

Lo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