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0세 사회 고용ㆍ일자리 분야 전망 및 대응방안

○ 100세 시대의 도래에 따라 저출산, 고령화 추세에서도 역동성과 활력이 넘치는 사회를 구현하기 위한 국가정책 전반의 패러다임 전환이 필요 - 그간 정책연구의 초점이…

연구사업보고서

2

100세 사회 고용ㆍ일자리 분야 전망 및 대응방안

100세 사회 고용ㆍ일자리 분야 전망 및 대응방안

저자
박명수, 윤정혜, 유한나, 김동배, 노용진, 윤정열, 이철희, 최강식
게시일
2012-07-27
주제대상
공통
조회수
19842
다운로드
1686
바로보기
82
키워드

목차

[목차] 제1장 100세 시대 인력공급 전망과 과제 제2장 고령인력에 대한 노동시장수요 변화 제3장 100세 시대 노동시장 정책 방향 제4장 고령자 고용연장을 위한 임금 유연화 제5장 100세 시대를 대비한 기업내 인적자원개발 제6장 100세 시대의 고령자 인적자원관리 부록

요약

○ 100세 시대의 도래에 따라 저출산, 고령화 추세에서도 역동성과 활력이 넘치는 사회를 구현하기 위한 국가정책 전반의 패러다임 전환이 필요 - 그간 정책연구의 초점이었던 ‘베이비붐 세대,1)2)’ ‘저출산 고령사회 기본계획3)’처럼 그동안 고령화 대책은 주로 노인복지, 또는 고령층의 퇴직으로 인한 노후생활 향상에 초점을 두는 경향이 있었음.

저자의 다른 보고서

의 다른 보고서,
검색조건 입력
게시판명 목록이며 번호, 구분, 보고서명, 게시일, 저자, 조회수, 첨부파일 정보 제공
번호 구분 보고서명 게시일 저자 다운로드수 첨부파일

연관 보고서

의 연관 보고서,
검색조건 입력
게시판명 목록이며 번호, 구분, 보고서명, 게시일, 저자, 조회수, 첨부파일 정보 제공
번호 구분 보고서명 게시일 저자 다운로드수 첨부파일

Lo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