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사업보고서
훈련분류체계개선방안
훈련분류체계개선방안
목차
목차
제1장 서론
1. 연구목적
2. 연구방법
3. 연구내용 및 절차
제2장 분류이론
1. 분류의 일반적인 의미
2. 분류의 필요성 및 단계
3. 명명법
4. 계층분류와 네트워크분류
제3장 국내ㆍ외 직업훈련 관련분류
1. 직업훈련분류관련 현황
2. 관련분류 분석
3. 외국외 직업훈련분류체계 및 시사점
제4장 HRD-NET(직업훈련전산망) 자료 분석
1. 훈련직종예시표를 사용한 훈련과정(실업자, 재직자, 근로자수강장려)분석
2. 한국고용직업분류(KECO)를 사용한 훈련과정(계좌제 훈련) 분석
제5장
1. 조사의 개요
2. 현 직업훈련분류에 대한 실태 분석
3. 시사점
제6장 신 직업훈련분류 설계
1. 선행연구 및 한계점
2. 직업훈련분류 쟁점사항
3. 훈련분류 설계원칙
4. 훈련분류 설계
제7장 신분류 및 구분류 대비표
1. 구분류를 기준으로 신분류대비
2. 신분류를 기준으로 구분류대비
제8장 결론 및 정책제언
요약
직업훈련은 어떤 직업을 가지려는 사람에게 직업에 필요한 기능을 습득시키는 일이다. 즉 직업훈련생은 필요한 기느으이 습득을 통해 관련 자격을 취득하고 관련직장에 취업을 할 목적으로 직업훈련을 이수하게된다. 따라서 직업훈련은 향후 종사하게 될 직업에 대한 직무분석을 통해 훈련프로그램을 설계하고 관련 교과를 선정하여 학습을 시키는일련의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저자의 다른 보고서
의 다른 보고서, 건
| 번호 | 구분 | 보고서명 | 게시일 | 저자 | 다운로드수 | 첨부파일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