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사업보고서
일본과 핀란드 고령자 고용지원정책연구
일본과 핀란드 고령자 고용지원정책연구
목차
제1장 머리말
제1절 연구배경
제2절 연구의 목적과 대상
제3절 연구의 구성
제2장 일본과 핀란드의 고령자 노동시장
제1절 일본과 핀란드의 인구고령화 현황
제2절 고령자 노동시장
제3장 일본의 고령자 고용정책
제1절 인구고령화와 베이비부머의 은퇴
제2절 공적연금제도의 개혁과 고령자 고용확보 조치의 실시
제3절 고령자 고용지원 프로그램의 주요 내용과 성과
제4절 일본 고령자 고용정책의 향후 과제
제4장 핀란드의 고령자 고용정책
제1절 핀란드 고령자 고용정책 연구의 의의
제2절 고령화와 노동능력
제3절 고령노동자를 위한 국가 프로그램(FINPAW)
제5장 결론과 토론
제1절 일본과 핀란드의 고령자 고용정책: 유사성과 차이
제2절 고령자 고용연장 정책 실시를 위한 사회경제적 조건: 일본과의 비교
제3절 핀란드 고령자 고용지원 정책의 시사점
참고문헌
요약
우리나라는 2000년에 65세 이상 고령인구가 전체 인구의 7%를 넘어서 ‘고령화 사회(Ageing society)’에 진입하였고 2009년 현재고령인구는 전체 인구의 10.7%인 519만 명으로 추산되고 있다. 2018년에는 고령인구가 14%를 넘어서 ‘고령사회(Aged society)’에 도달하며 불과 8년 후인 2026년에는 고령인구가 20%에 도달하여 ‘초고령사회(Super-aged society)’에 진입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저자의 다른 보고서
의 다른 보고서, 건
| 번호 | 구분 | 보고서명 | 게시일 | 저자 | 다운로드수 | 첨부파일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