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사업보고서
석박사 고급인력의 취업실태 분석 및 정책과제
석박사 고급인력의 취업실태 분석 및 정책과제
목차
목 차
제1장 서 론(박상현)
1. 연구의 배경, 필요성 및 목적
2. 선행연구
3. 연구의 방법
제2장 석∙박사 고급인력의 취업실태 분석(박상현)
1. 분석자료 및 조사의 개요
2. 석박사 고급인력의 양성과 취업실태 분석
3. 석사인력의 양성 및 취업실태 분석
제3장 박사 인력의 양성 및 활용실태 분석(박상현∙송창용)
1. 박사 인력 선행연구 분석
2. 박사 연구의 활용 자료
3. 박사 인력의 양성과 활용 실태
4. 국내 신규박사 현황과 특징
5. 미국박사들의 특성과 진로
제4장 결론 및 정책적 제언(박상현)
1. ‘양성’ 전략에서 ‘활용’ 방안으로 관점의 전환
2. 양에서 질의 문제로: 우선정책 대상으로서의 핵심역량 인적자원에 대한 관심
3. 대학 시간강사 처우개선을 위한 제도개선 시급
4. 장기적∙종합적인 고급인적자원관리정책의 관점에서의 접근
5. 고급인력 조사통계 인프라 체계 구축의 필요성
참고문헌
[부록 1] 2008년 산업∙직업별 고용구조 조사
[부록 2] 2008년도 박사학위 취득자 실태조사
[부록 3] 2008년도 시군구고용통계조사표
요약
최근 고학력화로 인해 대졸자뿐만 아니라 석․박사 학위자도 매년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교육과학기술부와 한국교육개발원의 통계에 의하면 석․박사 학위 취득자 규모가 2000년 53천 명에서 2005년 77천명, 2009년 86천 명으로 지난 9년간 약 60% 이상 증가하였고, 학부 졸업생 대비 석사 졸업생의 비율도 1990년 11.9%, 2000년 22.0%, 2005년 25.5%로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저자의 다른 보고서
의 다른 보고서, 건
| 번호 | 구분 | 보고서명 | 게시일 | 저자 | 다운로드수 | 첨부파일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