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사업보고서
청년층 구직역량 실태조사
청년층 구직역량 실태조사
목차
목 차
제1장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2. 연구의 목적 및 내용
3. 용어의 정의
4. 연구의 절차 및 방법
제2장 청년층 구직실태 및 구직역량 분석
1. 청년층 구직실태 및 구직영향 요인(변정현)
2. 청년층 구직을 위한 기업체 요구능력 및 실태(이건남)
3. 청년층 구직역량 관련 개념 및 역량 탐색(김성남)
제3장 구직역량 타당화 및 가중치 분석(고재성)
1. 구직역량 개념 및 하위역량 초안 개발
2. 구직역량 타당화를 위한 델파이 1차 조사 결과
3. 구직역량 타당화를 위한 델파이 2차 조사 결과
4. 구직역량 개념 및 하위역량 확정
5. 구직역량 영역별 가중치 분석
6. 소 결
제4장 청년층 구직역량 실태조사 분석
1. 청년층 분석 결과(변정현)
2. 교사 및 취업담당관 분석 결과(이건남)
3. 인사담당자 분석 결과(김성남)
4. 집단별 차이분석 결과(고재성)
제5장 결론 및 제언
1. 결 론
2. 취업지원 로드맵 개발을 위한 제언
참고문헌
[부록 1] 1차 델파이 조사지(구직역량 개념 및 하위역량 설정을 위한 1차 델파이 질문지)
[부록 2] 1차 델파이 의견 종합
[부록 3] 2차 델파이 질문지(구직역량 개념 및 하위역량 설정을 위한 2차 델파이 질문지)
[부록 4] 2차 델파이 의견 종합
[부록 5] 3차 델파이 질문지(구직역량 개념 및 하위역량 설정을 위한 3차 델파이 질문지)
[부록 6] 구직역량 실태조사 설문지(학생용)
[부록 7] 구직역량 실태조사 설문지(교사 ∙ 취업담당관용)
[부록 8] 구직역량 실태조사 설문지(인사담당자용)
요약
우리나라 청년층(15세~29세)의 실업률은 2000년 이후 7%를 웃돌고 있고 이는 전체 실업률의 두 배에 이른다. 최근 세계적인 경제침체의 영향으로 인해 청년층의 구직난은 더 가중될 것으로 보이고 이러한 고용사정의 악화로 인해 청년층들은 당장의 구직에 나서기보다는 양질의 일자리를 찾기 위해 사실상 ‘실업’을 선택하거나 심지어는 구직을 위한 교육이나 훈련조차도 기피하는 현상까지 벌어지고 있다.
저자의 다른 보고서
의 다른 보고서, 건
| 번호 | 구분 | 보고서명 | 게시일 | 저자 | 다운로드수 | 첨부파일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