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사업보고서
한국형 니트 취업지원 연구
한국형 니트 취업지원 연구
목차
차 례
I. 서론1
1. 연구 필요성 1
2. 연구 목적 3
3. 연구 내용 및 방법4
1) 청년 고용 및 니트프리터 실태 분석 4
2) 일본 사례연구 4
3) 구직단념자 진로 경로 분석 및 유형화 4
4) 청년 및 취업취약계층 취업지원 프로그램 분석 4
5) 한국형 니트 취업지원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제언 5
4. 기대 효과 5
1) 한국형 니트에 대한 기초자료 확보 5
2) 취업취약청년 취업지원 프로그램 방향 제시 5
3) 청년층의 노동시장 이행 지원 5
II. 청년 고용과 니트․프리터 실태 6
1. 논의 배경 6
2. 청년고용실태 7
3. 경제활동상태별 결정요인 분석 12
1) 분석자료 12
2) 니트의 정의13
3) 기초통계16
4) 결정요인 분석결과 20
4. 취업효과성 제고를 위한 취업노력 개선방안 25
5. 소결 28
Ⅲ. 일본 사례연구 분석29
1. 일본 니트 프리터 개요 29
2. 선행연구31
1) 니트·프리터 증가를 가져온 사회변화 - 구조적 불황의 원인 31
2) 사회 다양화와 청년층 노동관 변화 32
3) 니트·프리터의 개인적 요인 34
4) 니트·프리터 문제 해결을 위한 연구 35
3. 일본 실태 조사 36
1) 국가적 차원의 지원 사업 36
2) 지역체제 구축과 연계 사례 45
3) NPO 사례: NPO 법인 소다테아게 넷 54
4. 일본조사 결과의 시사점 61
Ⅳ. 면접조사 분석 63
1. 면접조사의 필요성 및 목적 63
2. 면접조사 개요64
1) 면접 대상 선정 방법 및 기준 64
2) 면접 방법 및 과정 65
3. 면접조사 결과 : 니트·프리터 유형과 특성 67
1) 유형 1: 내성적 위축형 68
2) 유형 2: 진로미성숙형 79
3) 유형 3: 꿈꾸는 프리터형 86
4) 유형 4(니트 위험군): 수험형 93
4. 면접 조사 요약 및 시사점 103
Ⅴ. 한국형 니트 취업지원 프로그램의 방향 107
1. 중앙 및 지방 정부의 취업취약 청년 취업지원 사업 107
1) 노동부 청년층 뉴스타트 프로젝트 107
2) 경기도 청년 뉴딜 프로그램 110
2. 취업애로계층 취업지원 프로그램 113
1) 취업희망 프로그램 113
2) 성취 프로그램 115
3) 대학생용 청년층 직업지도 프로그램(CAP+) 117
3. 청년 및 취업 애로계층 취업지원 사업 프로그램의 특성 119
4. 한국형 니트․프리터 취업지원 프로그램 방향 120
1) 취업지원 프로그램 대상 120
2) 취업지원 프로그램 내용 121
3) 취업지원 프로그램 운영 방향 123
Ⅵ. 결론 및 제언 125
1. 결 론 129
부 록 136
부 록 1. 136
부 록 2.137
요약
저자의 다른 보고서
| 번호 | 구분 | 보고서명 | 게시일 | 저자 | 다운로드수 | 첨부파일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