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동시장조기경보모형-단기예측모형을 중심으로

1997년 말 경제위기 이후 정부는 경제위기를 사전에 감지․대응할 수 있는 종합적인 점검제계를 수립할 필요성을 절감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경제정책협의회 (2004년 1월)…

연구사업보고서

노동시장조기

노동시장조기경보모형-단기예측모형을 중심으로

노동시장조기경보모형-단기예측모형을 중심으로

저자
신종각, 김기호, 노용환
게시일
2007-12-31
주제대상
고용정보분석,공통
조회수
17583
다운로드
1002
바로보기
41
키워드

목차

<차 례>

I. 연구개요 1

II. 월별 고용률 예측모형 4
1. 고용률에 대한 이론적 개괄 ·4
2. 고용률 예측모형 7
1) 예측모형의 선정 7
2) 정준공적분회귀 모형 10
3. 모형의 추정 결과 13
1) 추정에 사용된 변수 13
2) 추정 결과 14

III. 조기경보모형 42
1. 고용시장 조기경보모형 개관 42
2. 순위프로빗 모형(Ordered probit model) ·45
3. 위험수준의 설정 ·48
4. 위기 발생확률 예측모형 추정 결과 ·51

IV. 고용의 질 측정과 분석 53
1. 고용의 질 53
2. 고용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55
3. ?고용의 질? 지표의 측정 59
4. 소결 및 향후 과제 66

V. 분기별 고용률 예측모형 71
1. 고용률 예측의 이론적 모형 71
1) 노동수요함수의 도출과 추정 71
2) 노동공급결정모형 73
2. 실증분석모형 및 결과 76
1) 실증분석 모형 76
2) 단위근 검정(Unit Root Tests) 77
3) 벡터자기회귀(VAR)모형의 추정 결과 79
4) 벡터오차수정모형(VECM)을 이용한 추정 결과 89
3. 소결 및 정책적 시사점 93

VI. 결론 및 정책제언 96

요약

1997년 말 경제위기 이후 정부는 경제위기를 사전에 감지․대응할 수 있는 종합적인 점검제계를 수립할 필요성을 절감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경제정책협의회 (2004년 1월)에서는 경제상황을 정례적이고 종합적으로 점검할 수 있는 협의체를 구성하고, 대외부문에만 구축된 조기경보시스템(EWS: Early Warning System)을 타 부문으로 확대하며, 경제상황에 대한 체계적이고 종합적인 대응을 위한 위기관리 매뉴얼을 마련하기로 결정하였다.

저자의 다른 보고서

의 다른 보고서,
검색조건 입력
게시판명 목록이며 번호, 구분, 보고서명, 게시일, 저자, 조회수, 첨부파일 정보 제공
번호 구분 보고서명 게시일 저자 다운로드수 첨부파일

연관 보고서

의 연관 보고서,
검색조건 입력
게시판명 목록이며 번호, 구분, 보고서명, 게시일, 저자, 조회수, 첨부파일 정보 제공
번호 구분 보고서명 게시일 저자 다운로드수 첨부파일

Lo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