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장기 인력수요 전망 (2006-2016)

미국 노동통계국(BLS)은 제2차 세계대전이후 제대군인에게 일자리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고용전망을 실시하기 시작했다. 현재 미국에서 고용전망은 청소년의 진학 및 진로,…

연구사업보고서

중장기인력

중장기 인력수요 전망 (2006-2016)

중장기 인력수요 전망 (2006-2016)

저자
주무현, 강민정, 박세정
게시일
2008-02-29
주제대상
인력수급전망,공통
조회수
16944
다운로드
2258
바로보기
47
키워드

목차

❚차 례❚ 요 약 Ⅰ머리말 1. 미래의 나침반이 필요하다 2. 인력수급전망의 기능과 효과 3. 국내 인력수급전망연구 검토 Ⅱ. 인력수급전망 기본 개요와 방법 1. 주요 국가의 인력예측모형 2. KEIS 인력예측모형의 기본단계와 절차 Ⅲ. 중장기 산업별 성장과 취업계수 전망 1. 노동수요전망과 거시경제 활용 자료 2. 산업별 경제성장과 고용효과 3. 산업별 부가가치전망 4. 산업별 취업계수의 추이와 전망 Ⅳ. 노동수요전망 1. 산업별 노동수요전망 2. 직업별 노동수요전망 3. 직종별 노동수요전망 Ⅴ. 노동공급전망 1. 생산가능인구전망 2. 경제활동인구전망 Ⅵ. 총량전망과 정책 함의 1. 총량 전망 2. 산업성장과 노동수요의 관계 3. 정책함의와 향후 과제

요약

미국 노동통계국(BLS)은 제2차 세계대전이후 제대군인에게 일자리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고용전망을 실시하기 시작했다. 현재 미국에서 고용전망은 청소년의 진학 및 진로, 이직 및 전직 희망자에게 가장 중요한 고용정보로서 활용되고 있다. 더 나아가서 BLS는 취업 가능한 직업에 대한 단순한 정보를 기술하고 예측하는 차원에서 벗어나 거시경제, 노동력 공급, 산업별-직업별 고용전망 등을 실시하는 단계로 발전하였다.

저자의 다른 보고서

의 다른 보고서,
검색조건 입력
게시판명 목록이며 번호, 구분, 보고서명, 게시일, 저자, 조회수, 첨부파일 정보 제공
번호 구분 보고서명 게시일 저자 다운로드수 첨부파일

연관 보고서

의 연관 보고서,
검색조건 입력
게시판명 목록이며 번호, 구분, 보고서명, 게시일, 저자, 조회수, 첨부파일 정보 제공
번호 구분 보고서명 게시일 저자 다운로드수 첨부파일

Lo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