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사업보고서
해외 직업연구 및 직업정보 개발 동향
해외 직업연구 및 직업정보 개발 동향
목차
목차
요약 ⅵ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1
2. 연구의 목적 및 내용 3
Ⅱ. 직업정보와 직업연구
1. 직업정보의 개념과 효과성 4
1) 직업정보의 개념 4
2) 직업정보의 유형 5
3) 직업정보의 효과성 6
2. 직업연구의 개념 7
1) 직업연구의 개념 7
2) 직업연구의 범위 8
3. 직업 및 진로 의사결정 과정에서의 직업정보 활용 10
1) 1단계 : 직업선택의 인식 11
2) 2단계 : 개인의 직업특성 평가 11
3) 3단계 : 적합한 직업의 목록화 13
4) 4단계 : 직업목록의 관한 직업정보의 수집 13
5) 5단계 : 선택 직업의 결정 14
6) 6단계 : 선택 직업 진입을 위한 실천 행동 15
Ⅲ. 우리나라 직업정보와 직업연구
1. 직업정보 현황 10
2. 직업정보의 활용 실태 20
1) 조사개요 20
2) 주요 결과 20
2) 직업정보 활용 실태 소결 23
Ⅳ. 해외 직업연구 및 직업정보 개발 동향
1. 호주의 직업정보 개발 동향 25
1) 호주의 직업정보 개발 체계25
2) 호주의 직업정보 개발과 보급 27
3) 호주의 직업정보 서비스 기관 38
4) 호주의 직업연구 40
5) 호주의 직업 전망 44
6) 시사점 45
2. 영국의 직업정보 및 연구 동향 46
1) 영국의 진로지원서비스의 특징 46
2) 영국의 직업정보시스템 및 직업정보서 49
3) 영국의 직업연구 56
4) 영국의 직업정보 개발 및 보급 체계 63
5) 시사점 65
3. 일본의 직업정보 개발 동향67
1) 일본의 직업정보서 개발 및 보급 방법 67
2) 일본의 주요 직업정보서 68
3) 일본의 Career Matrix 75
4) 일본의 직업능력평가기준 81
5) 시사점 92
Ⅴ. 결론 및 시사점
1. 직업정보 개발에서의 시사점93
1) 직업정보 수요자 맞춤형 직업정보 개발 93
2) 직업정보 개발 및 전달에 있어서의 민간 참여 95
3) 경력개발을 위한 직업정보 개발 95
2. 직업정보 전달에서의 시사점97
1) 직업정보서의 무료보급과 유료보급 97
2) 다양한 매체를 활용한 직업정보의 전달 98
3) 인터넷 중심의 직업정보 전달 99
3. 직업연구에서의 시사점 100
1) 직업연구의 체계성 확보 100
2) 산업 현장에 기반한 직업연구 101
참고문헌103
요약
저자의 다른 보고서
| 번호 | 구분 | 보고서명 | 게시일 | 저자 | 다운로드수 | 첨부파일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