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사업보고서
수요자 중심의 취업지원 서비스를 위한 고용서비스기관 간 연계방안
수요자 중심의 취업지원 서비스를 위한 고용서비스기관 간 연계방안
목차
[차 례]
제1장 서론
제2장 고용서비스 파트너십(네트워크) 접근방법 및 선진국 사례
제3장 고용센터, 지자체 및 유관기관 파트너십(네트워크) 사례조사 결과
제4장 고용센터 취업지원 파트너십(네트워크) 설문조사 결과
제5장 워크넷 상담알선 취업자의 네트워크 실태분석 결과
제6장 수요자 중심의 파트너십(네트워크) 개선방안
참고문헌
부록
요약
본 연구의 목적은 워크넷에 기초한 수요자의 관점에서 바람직한 고용서비스 제공 주체들 간의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서 전략적 연계 강화방안 모색을 위한 합리적이고 효율적인 고용센터 ↔ 지자체 ↔ 공공기관 간의 관계 정립 및 고용서비스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SWOT 분석한 결과, 강점들은 취업지원노하우, 취업지원 경험, 취업지원 인프라, 파트너십을 위한 기본적인 조건들 준비, 다른 유형과의 관계십에 대한 경험, 지역/지방수준의 파트너십에 대한 관여 경험 등이었으며 약점들은 잦은 인사교체, 허브역할 부족, 업무과다 여력부족(양적 실적에 치중), 유관기관 부족, 지속가능성 부족, 연계 및 공조프로그램 부족(전산상의 소극적 연계수준), 시스템화 접근 미약, 파트너십 전문가 부족(개인역량 의존, 담당자 역량개발 필요), 유연한 개방체계 미구축(탄력적 운영 한계), 수요자 특성을 고려한 파트너십 구축을 위한 자원과 여력 부족 등이었다. 기회요인으로는 타기관 자원 활용 필요(수요자특성별 전문기관의 취업알선 활용), 취업지원에 많은 도움(수요자별 역할 분담, 취업서비스 제공), 네트워크 필요성 부각, 문제해결을 위한 경험, 협력, 협동 필요성 강조, 부가서비스 지원체계 등이며, 위험요인으로는 타기관 정보 부족, 타기관의 비협조, 연계시스템 부족(사업단위별 연계 공조 수준), 비탄력적 접근방법, 파트너십의 중요성에 대한 확신 부족, 파트너십에 대한 잘못된 접근(수요자 특성 미반영) 등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S-O전략으로 상시적 협업시스템 구축을, W-O전략으로 원스톱서비스확대를 통한 파트너십 강화 및 아웃리치서비스 개발 강화를, S-T전략으로 수요자 중심의 맞춤서비스형 파트너십 구축을 통한 성과관리, W-T전략으로 수요자 특성을 고려한 협업프로젝트 개발 및 운영을 제안하였다.
저자의 다른 보고서
의 다른 보고서, 건
| 번호 | 구분 | 보고서명 | 게시일 | 저자 | 다운로드수 | 첨부파일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