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이비부머의 주된 일자리 퇴직 후 경력경로 및 경력발달 이해를 위한 질적 종단 연구(2차년도)

이 연구의 목적은 질적 패널 자료를 통하여 베이비부머의 경력 경로와 퇴직 과정에서 나타나는 다양한 삶의 맥락적 의미를 심층적으로 파악하여 향후 베이비부머를 비롯한 …

연구사업보고서

베이비부머_표지

베이비부머의 주된 일자리 퇴직 후 경력경로 및 경력발달 이해를 위한 질적 종단 연구(2차년도)

베이비부머의 주된 일자리 퇴직 후 경력경로 및 경력발달 이해를 위한 질적 종단 연구(2차년도)

저자
김은석, 오찬호, 심우정, 하지영
게시일
2015-12-31
주제대상
진로,중장년
조회수
2728
다운로드
2119
바로보기
112
키워드

목차

제1장 서론 제2장 베이비부머 질적 종단 연구 조사 개요 제3장 여성 베이비부머 은퇴자 유형화 제4장 근로생애의 굴곡과 만족도에 따른 베이비부머 세대 유형화 제5장 베이비부머 퇴직자의 귀농·귀촌 선택 동기와 준비경험 제6장 베이비부머 1차 부가조사 제7장 결론 및 제언

요약

이 연구의 목적은 질적 패널 자료를 통하여 베이비부머의 경력 경로와 퇴직 과정에서 나타나는 다양한 삶의 맥락적 의미를 심층적으로 파악하여 향후 베이비부머를 비롯한 중장년층 대상의 경력관리 및 고용서비스 방향 수립을 지원하는데 있다. 이에 따라 2차년도에 해당하는 이 연구에서는 베이비부머 66명을 대상으로 한 1차 본조사(2014년) 결과를 바탕으로 주제별 심층 분석을 실시하는 한편, 베이비부머의 경제적 지위에 대한 주관적 인식 및 사회관계적 변화 경험에 대한 심층 분석을 위해 1차 부가조사(2015년)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여성 베이비부머 은퇴자 유형화, 근로생애(work life)의 굴곡과 만족도에 따른 베이비부머 세대 유형화, 베이비부머 퇴직자의 귀농·귀촌 선택 동기와 준비경험을 비롯하여 베이비부머의 경제적 지위에 대한 주관적 인식 및 사회관계적 변화 경험에 대한 심층 분석 결과와 시사점을 도출하였고,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향후 베이비부머를 비롯한 중장년층 대상의 경력관리 및 고용서비스 방향 수립을 위한 정책적 제언을 제시하였다.

저자의 다른 보고서

의 다른 보고서,
검색조건 입력
게시판명 목록이며 번호, 구분, 보고서명, 게시일, 저자, 조회수, 첨부파일 정보 제공
번호 구분 보고서명 게시일 저자 다운로드수 첨부파일

연관 보고서

의 연관 보고서,
검색조건 입력
게시판명 목록이며 번호, 구분, 보고서명, 게시일, 저자, 조회수, 첨부파일 정보 제공
번호 구분 보고서명 게시일 저자 다운로드수 첨부파일

Lo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