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사업보고서
자동차 부품 제조업의 고용 구조와 인력수요 전망
자동차 부품 제조업의 고용 구조와 인력수요 전망
목차
[차 례]
제1장 서론
제2장 자동차 부품 제조업의 고용 변화와 일자리 창출(권혜자)
제3장 자동차 부품 제조업의 산업 특성(남기곤)
제4장 자동차 부품 제조업의 하도급 거래 구조와 고용 구조의 변화(이상호)
제5장 자동차 부품 제조업 인력수요 전망(권혜자,공정승)
제6장 요약 및 시사점
참고문헌
부표
요약
본 연구는 자동차 부품 제조업의 하도급 거래를 포함하여 노동시장 구조와 인력수급 현황을 분석하고 향후 자동차 부품 제조업의 인력수요를 전망하고 있다. 2007~2013년 간 자동차 부품 제조업 종사자 수는 상용근로자, 중고령자를 중심으로 증가하였으며 전체 종사자 중 파견근로자의 비율도 점차적으로 높아지고 있다는 특징을 보여주고 있다. 다른 제조업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생산성, 중소 규모의 기업 중심, 원-하청 간 수직적 구조 등도 자동차 부품 제조업의 특징으로 꼽힌다. 자동차 부품 제조업의 인력수요 전망 결과는 실측 기간의 취업자 성장세가 둔화될 것임을 시사한다. 2009~2014년 사이 자동차 부품 제조업의 연평균 취업자 증가율은 6.0%였으나 전망 기간(2014~2019년)에는 2.4%로 추정되었다. 중고령자, 고학력자를 중심으로 취업자 수가 증가할 것으로 보이며 직업별로는 사무 종사자, 기능원 및 관련 종사자 등을 중심으로 일자리 창출이 이루어질 것으로 전망되었다.
저자의 다른 보고서
의 다른 보고서, 건
| 번호 | 구분 | 보고서명 | 게시일 | 저자 | 다운로드수 | 첨부파일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