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사업보고서
제조업 고용 변동 분석
제조업 고용 변동 분석
- 저자
- 권혜자, 공정승, 윤석천, 안정화, 연보라
- 게시일
- 2015-12-21
- 주제대상
- 인력수급전망,공통
- 조회수
- 1563
- 다운로드
- 2313
- 바로보기
- 46
목차
[차 례]
제1장 서론
제2장 제조업 주요 업종의 고용 변화(권혜자)
제3장 금융위기 이후 제조업의 부문별 일자리 창출의 변화(권혜자)
제4장 제조업의 직종별 고용특성의 변화(권혜자)
제5장 제조업 고용탄력성 변동 분석(공정승)
제6장 제조업 숙련 노동 변화 특성(윤석천)
제7장 제조업의 수출 및 성장과 고용 변동(안정화)
제8장 요약 및 시사점
참고문헌
부록
요약
이 연구는 2008년 금융위기 이후 제조업의 고용 변동에 초점을 두고, 제조업의 일자리 취득 상실과 일자리 창출의 추이를 살펴본 것으로 분석 결과에 의하면, 2008년 경제 위기를 거치면서 고용 규모가 큰 컴퓨터, 영상, 음향 및 통신 장비 제조업, 기타 운송 장비 제조업, 자동차 및 트레일러 제조업 등의 일자리 창출이 제조업의 전반적인 고용 증가를 주도한 것으로 나타났다. 근로자 유형별로는 상용근로자, 장년층이 고용 증가를 주도하는 한 편, 숙련 정도에 따라 노동이동에 제약이 있음을 발견하였다.
양질의 고용 창출을 위해서는 무엇보다 교육 훈련과 직무 배치 전환과 같은 내부 조정 방식, 그리고 숙련의 폭과 숙련의 깊이와 관련된 체계적인 숙련형성제도를 확충해야 할 것이다. 이는 제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해서도 필요하다.
저자의 다른 보고서
의 다른 보고서, 건
| 번호 | 구분 | 보고서명 | 게시일 | 저자 | 다운로드수 | 첨부파일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