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사업보고서
중고령자의 일자리 상실과 재취업
중고령자의 일자리 상실과 재취업
목차
[차 례]
제1장 서론
제2장 중고령자의 추이와 일자리 상실
제3장 중고령자의 재취업과 재취업 결정 요인
제4장 기업의 중고령자 고용 결정요인
제5장 중고령자의 구인 구직 분석
제6장 요약 및 결론
참고문헌
요약
이 연구는 고용보험통계 자료와 워크넷 자료를 이용하여 중고령자의 일자리 상실과 재취업, 그리고 기업 수준에서 중고령자 고용의 결정 요인, 중고령자 구인 구직의 미스매치를 분석하고 있다. 연구 결과, 중고령자의 재취업은 비교적 안정적인 주된 일자리에서 퇴직했는가, 또는 불안정한 주변 노동시장에서 퇴직했는가에 따라 다른 양상을 보였다. 주된 일자리의 퇴직자의 경우에는 재취업시에 임금 저하 수준이 크고 재취업 확률이 낮게 나타났다. 그러나 주변 노동시장에서 비자발적으로 퇴직한 경우에는 재취업 확률이 높고 임금 저하수준도 작은 편이었다. 따라서 퇴직자의 재취업을 높이기 위하여 재취업시의 임금 저하 수준을 보전하고자 하는 정책은 정작 정책 지원이 필요한 불안정 고용 상태의 중고령자에게는 도움이 되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는 주된 일자리에서 중고령자의 배출을 줄일 수 있는 정책이 필요할 것이며 일부 편중되어 나타나는, 즉 중고령자의 일자리 미스매치를 해소하기 위해서는 편중 직업보다는 취업이 가능한 직종으로 취업 알선을 다양화함으로써 직업 간 미스매치를 해소할 수 있을 것이다.
저자의 다른 보고서
의 다른 보고서, 건
| 번호 | 구분 | 보고서명 | 게시일 | 저자 | 다운로드수 | 첨부파일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