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사업보고서
직업 인력수요 구조변화와 특징 -산업, 직업 연계분석을 중심으로-
직업 인력수요 구조변화와 특징 -산업, 직업 연계분석을 중심으로-
요약
본 연구는 산업구조 변화에 따라 직업 인력수요가 어떻게 변화해 왔는지를 분석함으로써 산업과 직업 간 연계성에 대하여 통찰하고 미래 산업・직업 인력수요 전망을 위한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산업구조의 경우 탈농업화와 공업화 및 서비스업화가 진행되면서 인력수요는 농림어업에서 제조업으로, 제조업에서 서비스업 중심으로 이동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직업 인력수요 구조는 점차 고르게 분포화되는 현상을 관찰할 수 있는데, 이는 산업 내에서 필요로 하는 직무 영역이 다양해지고 확대되고 있음을 가늠케 한다. 특히, 전문가 관련직과 사무직, 그리고 생산 관련직, 단순노무 종사자를 중심으로 고용 증가가 이뤄졌는데 특정 산업에 편중되지 않고 분석기간 동안 여러 산업에 걸쳐 고르게 증가하였다. 직업 대분류별 인력수요 변화는 관리직의 경우 보건업 및 사회복지서비스업을 제외한 거의 모든 업종에서 고용이 감소하는 추세인 반면, 고용 비중이 가장 큰 전문가 및 관련 종사자의 경우 대부분의 업종에서 고용이 성장하였다. 특히, 학령인구 감소 영향으로 교육서비스업의 일자리가 지속 감소하는 반면, 보건 및 사회복지서비스업과 출판・영상・방송통신 및 정보서비스업, 전문・과학 및 기술서비스업은 고용이 빠르게 성장하였다. 사무 종사자의 경우 건설업, 숙박 및 음식점업을 제외한 대부분의 산업에서 고용이 증가하였고, 서비스 종사자는 보건업 및 사회복지서비스업을 중심으로 대부분의 업종에서 고용이 증가하였는데, 절반 이상을 차지하는 숙박 및 음식점업의 고용은 정체된 상황이다. 판매 종사자는 도매 및 소매업에 10명 중 7~8명이 종사하는데, 2008년 금융위기 이후 예년 수준을 회복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기능원 및 관련 종사자는 고용 비중이 가장 큰 제조업에서 고용이 감소한 반면, 건설업에서는 고용 비중이 크게 증가하여 비중 순위가 바뀌었다. 장치・기계 조작 및 조립 종사자는 가장 비중이 큰 제조업과 운수업 등에서 고용이 증가하였다. 단순노무 종사자는 제조업에서 고용이 감소한 반면, 사업시설관리 및 사업지원서비스업의 고용이 증가하여 고용 비중이 가장 큰 산업이 되었다.구조
저자의 다른 보고서
의 다른 보고서, 건
| 번호 | 구분 | 보고서명 | 게시일 | 저자 | 다운로드수 | 첨부파일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