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사업보고서
자치단체 일자리사업 수급구조 효율화를 위한 지역별 일자리사업 수요조사 -직접일자리사업 중심으로-
자치단체 일자리사업 수급구조 효율화를 위한 지역별 일자리사업 수요조사 -직접일자리사업 중심으로-
목차
제1장 서론
제2장 노동시장 현황
제3장 일자리 수급구조 효율화를 위한 정량분석
제4장 일자리사업 참여자 및 담당자의 정성분석
제5장 정책적 시사점
제6장 결론
참고문헌
부록
요약
본 보고서는 중앙정부 및 지방자치단체에서 운영하고 재정지원일자리 사업 특히, 직접일자리사업의 현실을 파악하여 정책적 방향을 제시하기 위한 보고서로서 향후 재정지원일자리 사업의 개선 및 발굴에 자치단체와 수요자의 의견을 반영하기 위한 자료로 활용하고, 일자리사업의 분배구조를 기능적 측면에서 파악하여 재정운영의 균형 방향을 제시하여 노동시장정책의 장기전략 및 방안 제시하였다.
본 보고서의 연구 내용은 노동시장 현황 분석, 일자리사업의 현황 분석, 일모아 시스템 DB 분석, 자치단체별 일자리 사업 참여자 수요분석, 자치단체별 일자리 사업 담당자 대상 수요분석, 일자리사업 전문가 등에 대해 FGI, 자치단체 일자리사업 효율화를 위한 정책적 제언 도출로 이루어져 있다.
본 보고서의 결론은 거시적 차원에서의 일자리사업 특히, 직접일자리 사업의 방향성 제시와 일자리 사업의 기획시 유의점, 일자리 사업 수요량 결정에서의 방향성 제시를 다루고 있으며, 향후 직접일자리사업은 4가지 유형으로 설계하는 것을 제시하고, 직접일자리에 대한 수요 예측은 상향식의 수요조사와 기초통계를 활용하는 방식의 수요 예측을 제시하고 있다.
저자의 다른 보고서
의 다른 보고서, 건
| 번호 | 구분 | 보고서명 | 게시일 | 저자 | 다운로드수 | 첨부파일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