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업훈련과 노동이동 : 훈련축적과 직종연계의 관점에서

본 연구에서는 사업주 지원 훈련을 훈련시간과 훈련횟수 현황과 이들 요인이 직장이직이나 임금변동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실업자 훈련에 대해서는 훈련 직종과 취…

연구사업보고서

직업훈련-표제

직업훈련과 노동이동 : 훈련축적과 직종연계의 관점에서

직업훈련과 노동이동 : 훈련축적과 직종연계의 관점에서

저자
김두순
게시일
2017-03-09
주제대상
고용서비스,공통
조회수
1179
다운로드
1040
바로보기
27
키워드

목차

제1장 서론 제2장 재직자 훈련 참여자의 노동이동 제3장 실업자 훈련 참여자의 상태 변화 제4장 요약 및 시사점 참고문헌

요약

본 연구에서는 사업주 지원 훈련을 훈련시간과 훈련횟수 현황과 이들 요인이 직장이직이나 임금변동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실업자 훈련에 대해서는 훈련 직종과 취업직종과의 일치여부가 재취업 후의 임금변동과의 연관성을 검토하였다. 재직자 훈련횟수가 많을수록 직장이동을 하지 않는 경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동시에 직장 상실한 경우, 훈련횟수는 다른 직장으로의 이직확률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재직자 훈련 참여자의 직장이동은 대체로 임금수준의 하락을 수반하고 있었다. 훈련 직종과 취업 직종이 일치하는 집단은 재취업 임금수준은 불일치 집단보다 일관되게 낮은 수준이다. 그러나 이전 직장 임금수준에서의 임금변동을 비교하면, 일치 집단이 불일치 집단의 임금하락보다 낮게 나타났다. 이중차분방식 적용 결과, 훈련 직종과 취업 직종의 일치는 임금에 긍정적 방향을 작동하고 있었다. 하지만 직업 중분류 일치여부는 아무런 관련성을 찾을 수 없었다. 이전 직장 직종 – 훈련 직종 – 재취업 직종이 KECO 중분류 차원에서 모두 일치하는 집단의 임금변동 효과는 다른 4개의 집단보다 매우 높았다. 이러한 결과는 연도별로 매우 일관되게 나타났다.

저자의 다른 보고서

의 다른 보고서,
검색조건 입력
게시판명 목록이며 번호, 구분, 보고서명, 게시일, 저자, 조회수, 첨부파일 정보 제공
번호 구분 보고서명 게시일 저자 다운로드수 첨부파일

연관 보고서

의 연관 보고서,
검색조건 입력
게시판명 목록이며 번호, 구분, 보고서명, 게시일, 저자, 조회수, 첨부파일 정보 제공
번호 구분 보고서명 게시일 저자 다운로드수 첨부파일

Lo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