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2020년 건설산업 수요 전망

건설업은 경기에 민감하고 한국경제 미치는 파급효과가 커서 장기적으로 일관성 있게 정책을 추진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존재하는 산업 특성을 가지고 있다. 건설업의 타산…

연구사업보고서

건설산업_표제

2015~2020년 건설산업 수요 전망

2015~2020년 건설산업 수요 전망

저자
강민정, 심규범
게시일
2017-04-21
주제대상
인력수급전망,공통
조회수
1832
다운로드
5630
바로보기
61
키워드

목차

제1장 서론 제2장 건설업의 이해 제3장 건설업의 고용 특성 제4장 건설인력 양성을 위한 정책 제5장 건설인력 전망 결과 제6장 요약 및 정책 시사점 참고문헌

요약

건설업은 경기에 민감하고 한국경제 미치는 파급효과가 커서 장기적으로 일관성 있게 정책을 추진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존재하는 산업 특성을 가지고 있다. 건설업의 타산업과 다른 고유의 특성을 가지고 있다. 이를 바탕으로 산업 직업 고용구조를 분석하고 건설 취업자의 특성을 분석을 실시한다. 분석 결과를 토대로 2015~2025년 건설 취업자 전망을 실시하여, 건설인력 양성 정책에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건실 취업자 규모를 산업, 직업 중분류 수준에서 구체적으로 제시하고 연령층별, 성별, 학력별 수준에서의 전망치도 제시하여 건설인력 양성 정책의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저자의 다른 보고서

의 다른 보고서,
검색조건 입력
게시판명 목록이며 번호, 구분, 보고서명, 게시일, 저자, 조회수, 첨부파일 정보 제공
번호 구분 보고서명 게시일 저자 다운로드수 첨부파일

연관 보고서

의 연관 보고서,
검색조건 입력
게시판명 목록이며 번호, 구분, 보고서명, 게시일, 저자, 조회수, 첨부파일 정보 제공
번호 구분 보고서명 게시일 저자 다운로드수 첨부파일

Lo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