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사업보고서
주요 업종별 채용 트렌드 변화 연구
주요 업종별 채용 트렌드 변화 연구
목차
제1장 서론
제2장 국내 채용 현황 분석
제3장 기업 채용 경향 분석
제4장 구직자 취업 경향 분석
제5장 기업 채용 경향과 구직자 취업준비경향 비교분석
제6장 요약 및 시사점
제7장 정책적 시사점
부록
참고문헌
요약
본 연구는 청년들이 주로 취업하는 업종을 중심으로 채용 경향의 변화를 파악하기 위해 정보통신업과 전기전자업을 각각 서비스업과 제조업의 대표 업종으로 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2015년에 실시한 천영민 등(2015)의 연구가 고용창출우수기업을 대상으로 한 반면, 본 연구는 대기업과 중기업만을 대상으로 하여 분석하였고, 매년 기업체의 채용 현황을 확보하여 향후 채용경향을 탐색하기 위한 기초연구로서의 역할도 수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기업체의 채용공고문, 취업준비생의 준비 및 합격 수기, 인사담당자 심층인터뷰 결과 등을 기본으로 하여 키워드 기반 텍스트분석 결과를 중심으로 경향 정보를 비교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기업 채용 현황 및 채용 공고 분석을 실시한다. 2차자료를 통한 기업 채용 현황 분석을 통한 현재의 트랜드를 이해하고, 채용 공고문 분석(기술통계 분석 및 빅데이터 분석)을 통하여 기업 채용관련 핵심 고려사항을 도출한다. 둘째, 취업준비생 취업 현황을 분석한다. 취업준비생 취업 준비 분석 대상 선정 및 준비 현황을 빅데이터로 분석함으로써, 취업준비생이 가장 고려하는 요인에 대한 도출을 한다. 셋째, 기업 채용 경향 인사담당자 인터뷰를 실시한다. 인터뷰 대상 선정 및 설문개발, 그리고 인터뷰 결과 분석을 통하여 질적 측면의 세부적인 채용 경향에 대한 이해를 한다. 넷째, 채용 경향 비교 분석 및 정책적 시사점 도출을 시행한다. 채용 경향과 취업준비 현황에 대한 분석 및 전체적인 시사점을 도출하고 이를 기반으로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함으로써, 본 연구가 제시하고자 하는 전기전자 분야와 정보통신 분야의 채용 트랜드에 대한 세부적인 변화상을 이해한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업의 공고문 및 인사담당자 인터뷰 결과 신입채용 비중이 지속적으로 낮아지고 있고, 경력채용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를 확인할 수 있다. 구직자들 입장에서는 점차 취업문이 좁아지고 있는 현실이다. 둘째, 기업의 공고문 및 인사담당자 인터뷰 결과 정기공채의 비중이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고, 수시채용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셋째, 기업의 인사담당자 인터뷰 결과 스펙은 서류심사에서 기본적인 조건을 충족시키는 과정이라고 설명하고 있으나, 구직자들은 스펙을 높이는데 치중하고 있다. 넷째, 기업과 구직자의 가장 큰 관점의 차이가 발생하는 프로세스가 바로 면접이다. 기업에서는 서류심사를 통해 기본적인 조건이 충족되는 대상자를 선정한 후, 면접을 통해 종합적으로 판단하여 직원을 채용한다.
저자의 다른 보고서
의 다른 보고서, 건
| 번호 | 구분 | 보고서명 | 게시일 | 저자 | 다운로드수 | 첨부파일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