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사업보고서
전남지역 주요 제조업의 인력수급 실태와 정책과제
전남지역 주요 제조업의 인력수급 실태와 정책과제
- 저자
- 권혜자, 권우현, 서정희, 홍성우, 형광석, 김대성, 연보라
- 게시일
- 2017-08-22
- 주제대상
- 인력수급전망,공통
- 조회수
- 540
- 다운로드
- 778
- 바로보기
- 41
목차
제1장 서론(권혜자)
제2장 전남지역 산업구조와 주요 제조업의 고용변화(권혜자)
제3장 전남지역 주요 제조업의 고용구조와 인력 부족(권혜자)
제4장 전남지역 식료품 제조업의 고용 현황 및 구조(권우현)
제5장 전남지역의 인력공급의 변화와 제조업 인력정책(홍성우)
제6장 전남지역 제조업의 산업 및 일자리정책과 전달체계(형광석)
제7장 결론 및 정책과제(권혜자)
참고문헌
부록
요약
이 연구는 2015년까지 제조업 고용이 증가한 것으로 보고되는 전남지역의 주요 7개 제조업에 한정하여 업종별 고용의 변화와 그 특성을 전국ㄴ 및 광주지역과 비교 분석하였다. 최근 일자리 취득 상실의 업종별 추이를 분석함으로써 조선업과 철강산업의 위기가 전남지역에서 나타나고 있는가를 살펴보았다.
전남지역 10인 이상 주요 제조업체의 82%에 달하는 사업체를 대상으로 주요 업종별 인력수요 변화와 인력부족 실태, 고용유지를 위한 정부 지원사항 등을 조사하였다. 특히 지역 제조업 사업체의 44%에 해당하는 식료품 제조업의 조사결과는 별도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전남지역 제조업의 고용이 둔화되는 시점은 2015년 상반기부터 감소하기 시작해서 2016년 내내 악화되었다. 제조업 피보험자의 감소는 기타 운송장비 제조업에서의 고용감소(조선)가 가장 큰 원인이고, 다음으로 금속가공제품 제조업(철강)의 고용감소에 의한 것이었다. 실태조사 결과에서는 주요 제조업 사업체들의 신규채용이나 채용 계획 등 인력수요가 얼어붙은 것으로 조사되어, 고용 및 경제위기에 대한 절박성이 드러났다. 정부에 요구하는 고용유지 정책과제도 주로 경영위기 해소, 자금난, 인건비 지원이 주를 이루었다.
저자의 다른 보고서
의 다른 보고서, 건
| 번호 | 구분 | 보고서명 | 게시일 | 저자 | 다운로드수 | 첨부파일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