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사업보고서
중장기 인력수급 전망 2016~2026
중장기 인력수급 전망 2016~2026
- 게시일
- 2018-05-24
- 주제대상
- 인력수급전망,공통
- 조회수
- 2452
- 다운로드
- 2255
- 바로보기
- 156
목차
제1장 서 론
제2장 전망 자료 및 전망 모형
제3장 경제성장 및 산업별 부가가치 전망
제4장 중장기 여성노동시장 변동 분석
제5장 청년층 인력수급 변동 분석
제6장 외국인 인력수급 변동 분석
제7장 임금 변동의 고용 효과 분석
제8장 중장기 인력공급 전망
제9장 산업별 취업자 수 전망
제10장 직업별 취업자 수 전망
제11장 학력별 인력수요 전망
제12장 학력-전공별 인력수급 격차 전망
제13장 제조업 직업별 취업자 수 전망
제14장 콘텐츠산업의 인력수요 전망
제15장 사회서비스 인력수요 전망
제16장 과학기술인력 특성 분석 및 전망
제17장 요약 및 정책적 시사점
참고문헌
부록 1 ∙ 미래 인력수요 불균형 지수
부록 2 ∙ 부표와 부도
요약
중장기 인력수급 전망은 미래 우리나라 인력수급구조를 전망하여 지속적인 성장을 위한 인력 양성 정책 수립에 기여하는 것을 주목표로 한다. 개별 경제주체 차원에서 중장기 인력수급 전망 결과는 학생에게는 진로선택, 구직자에게는 직업선택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며 기업 차원에서는 고용전략 수립에 도움이 되는 정보가 될 것이다.
이번 중장기 인력수급 전망 2016~2026을 통해 인력공급 전망, 취업자 수 전망, 학력-전공별 인력수급 격차 전망 결과를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먼저, 인력공급 전망 결과를 보면 생산가능인구는 2016년 43,416천 명에서 2026년 45,485천 명으로 2,069천 명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경제활동인구는 2016년 27,247천 명에서 2026년에는 29,254천 명으로 2,007천 명 늘어날 것으로 예측된다. 경제활동참가율은 2016년 62.8%에서 2026년에는 64.3%로 1.5%p 높아질 것으로 전망된다.
다음으로 취업자 수 전망 결과를 보면 2016년 26,235천 명에서 2026년에는 28,133천 명으로 1,898천 명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생산가능인구의 증가율보다 취업자 증가율이 더 높아지면서 고용률은 2016년 60.4%에서 2026년에는 61.9%까지 증가할 것으로 예측된다.
마지막으로 학력-전공별 인력수급 격차 전망 결과를 보면 2020년 이후 모든 학력 수준에서 졸업생 감소가 예상되고 대졸 학력 가운데 공학, 의약, 예체능 계열에서 구인 인력수요가 비교적 높을 것으로 전망된다. 또한 전망 기간 하반기에 이르면 대졸 인력의 초과 수요가 예측되며 전공계열별로 보면 공학계열에서 노동력이 크게 부족할 것으로 전망된다.
저자의 다른 보고서
의 다른 보고서, 건
| 번호 | 구분 | 보고서명 | 게시일 | 저자 | 다운로드수 | 첨부파일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