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령사회대응을 위한 2018 신직업

한국고용정보원에서는 2013년부터 체계적으로 새로운 직업을 연구하고 발굴하는 것에 앞장서 왔습니다. 그동안 80여개의 직업이 공식적인 신직업으로 발표되어 정부차원에…

연구사업보고서

고령사회대응을 위한 2018 신직업

고령사회대응을 위한 2018 신직업

고령사회대응을 위한 2018 신직업

저자
최영순, 김중진, 박가열, 최화영, 손다혜
게시일
2018-12-31
주제대상
직업,공통
조회수
1155
다운로드
1727
바로보기
7
키워드

목차

제1장. 서론 제2장. 신직업발굴 및 발표현황 제3장. 분야별 신직업 제4장. 고령사회대응을 위한 서비스 및 직업 제5장. 요약 및 제언 참고문헌 [별첨] 분야별 현장전문가 대상 FGI설문지

요약

한국고용정보원에서는 2013년부터 체계적으로 새로운 직업을 연구하고 발굴하는 것에 앞장서 왔습니다. 그동안 80여개의 직업이 공식적인 신직업으로 발표되어 정부차원에서의 활성화를 견인하고자 노력해 왔으며 일반국민들이 더 넓은 시각과 접근으로 직업선택과 경력개발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해왔습니다. 본 보고서는 새로운 직업, 그리고 그것으로 인해 파생되는 서비스 제안을 통해 중장기적으로 일자리를 창출하고 국민이 체감하는 서비스의 질을 높일 수 있는 것을 담고 있습니다. 이를 위해 최근 정부의 정책과 궤를 같이 하면서 향후 직업적 활성화가 기대되는 신직업을 각 부처의 제안, 관련 전문가 의견수렴, 현장조사 등을 거쳐 수록하였습니다. 또한 우리사회의 가장 중요한 이슈인 ‘저출산 고령화’에 따라 앞으로 인구의 상당수를 차지하게 될 고령인구들이 안고 있는 의식주, 정서적 안정, 의료서비스, 자기개발, 그리고 웰다잉에 이르는 여러 문제를 해결하는데 도움이 될 직업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이들 직업의 대부분은 가까운 일본에서는 활성화된 것으로 우리나라에서도 향후 고령인구의 삶의 질 제고, 새로운 산업의 활성화 및 시장개척을 위해 염두에 둘 필요가 있는 직업들입니다. 본 보고서가 첫 진로를 꿈꾸는 청년, 새로운 인생을 탐색중인 재직자와 중장년, 더 나은 정책과 서비스를 고민하고 있는 전문가들이 미래지향적인 직업을 탐색하는데 도움이 되기를 기대합니다.

저자의 다른 보고서

의 다른 보고서,
검색조건 입력
게시판명 목록이며 번호, 구분, 보고서명, 게시일, 저자, 조회수, 첨부파일 정보 제공
번호 구분 보고서명 게시일 저자 다운로드수 첨부파일

연관 보고서

의 연관 보고서,
검색조건 입력
게시판명 목록이며 번호, 구분, 보고서명, 게시일, 저자, 조회수, 첨부파일 정보 제공
번호 구분 보고서명 게시일 저자 다운로드수 첨부파일

Lo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