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장기 인력수급 수정전망 2017-2027

중장기 인력수급 전망은 미래 우리나라 인력수급 구조를 전망하여 지속적인 성장을 위한 인력 양성 정책 수립에 기여하는 것을 주목표로 한다. 참여 연구진은 이번 중장기 …

연구사업보고서

중장기 수정전망_표제

중장기 인력수급 수정전망 2017-2027

중장기 인력수급 수정전망 2017-2027

저자
이시균, 박진희, 정재현, 김수현, 홍현균, 정순기, 방글, 공정승, 이혜연, 이진면, 안주엽, 지민웅, 박진, 황선웅, 송민정
게시일
2019-06-19
주제대상
인력수급전망,공통
조회수
1181
다운로드
1529
바로보기
77
키워드

목차

제1장 서 론 제2장 경제성장 및 산업별 부가가치 전망 제3장 인구구조와 인력공급 제약 제4장 노동시간 단축과 인력수요 변화 분석 제5장 중장기 인력공급 전망 제6장 산업별 취업자 수 전망 제7장 직업별 취업자 수 전망 제8장 학력별 인력수요 전망 제9장 학력-전공별 인력수급 격차 전망 제10장 제조업 직업별 취업자 수 전망 제11장 서비스업 인력수요 전망 제12장 요약 및 정책적 시사점 참고문헌 부록 1 ∙ 전망 자료 및 전망 모형 부록 2 ∙ 과학기술인력 인력수요 분석 부록 3 ∙ 부표와 부도

요약

중장기 인력수급 전망은 미래 우리나라 인력수급 구조를 전망하여 지속적인 성장을 위한 인력 양성 정책 수립에 기여하는 것을 주목표로 한다. 참여 연구진은 이번 중장기 인력수급 수정전망(2017~2027년)에서 2017년 인력수급 실측치를 적용하였고 새롭게 제시한 보정된 경제활동인구조사 자료를 기준으로 삼아 전망 연구를 수행하였다. 그러나 산업 및 직업 소, 세분류의 경우 지역고용조사 자료를 활용하여야 하는데, 보정된 지역고용조사 자료가 없어서 전망 작업을 수행하지 못하여 전망 범위는 기존보다 축소되었다. 주요 전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인력공급 측면에서 생산가능인구는 2017년 43,930명에서 2027년 45,633천 명으로 1,703천 명이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경제활동인구는 2017년 27,748천 명에서 2027년에 28,960천 명으로 1,213천 명 늘어날 것으로 예측된다. 또한, 경제활동참가율은 2017년 63.2%에서 2027년에는 63.5%로 0.3%p 높아질 것으로 전망된다. 인력수요 측면에서 취업자 수 전망 결과를 보면 2017년 26,725천 명에서 2027년에 28,072천 명으로 1,347천 명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인력공급과 인력수요 전망 결과를 종합하면, 고용률은 2017년 60.8%에서 2027년에 61.5%까지 증가할 것으로 예측되며 실업률은 2017년에 3.7% 수준에서 2027년에 3.1%로 낮아질 전망이다.

저자의 다른 보고서

의 다른 보고서,
검색조건 입력
게시판명 목록이며 번호, 구분, 보고서명, 게시일, 저자, 조회수, 첨부파일 정보 제공
번호 구분 보고서명 게시일 저자 다운로드수 첨부파일

연관 보고서

의 연관 보고서,
검색조건 입력
게시판명 목록이며 번호, 구분, 보고서명, 게시일, 저자, 조회수, 첨부파일 정보 제공
번호 구분 보고서명 게시일 저자 다운로드수 첨부파일

Lo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