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역 지역별 인력수급 전망 2016-2026(I)

본 보고서는 앞서 발표한 「중장기 인력수급전망 2016-2026」의 전망 결과와 정합성을 유지하여 16개 시도의 지방자치단체별로 노동시장의 특성 분석과 함께 인력수급 전망…

연구사업보고서

광역 지역별 전망(I)_표제

광역 지역별 인력수급 전망 2016-2026(I)

광역 지역별 인력수급 전망 2016-2026(I)

저자
박진희, 이시균, 정재현, 김수현, 홍현균, 정순기, 방글, 공정승, 이혜연, 이진면, 김영옥, 정성미, 하형석, 반가운, 고영우, 문시온
게시일
2019-06-26
주제대상
인력수급전망,공통
조회수
505
다운로드
964
바로보기
4
키워드

목차

제1장 서 론 제2장 지역별 여성노동시장 분석 제3장 고령인구 지역별 노동시장 분석 제4장 지역별 청년 노동시장 분석 제5장 지역별 노동시장에서 스킬의 주요 특성 제6장 지역별 일자리 현황과 변동 제7장 지역별 노동수요 분석 제8장 광주, 강원, 제주 지역의 노동수요 분석 제9장 지역별 자영업 노동시장 분석 제10장 지역 • 산업 간 노동이동 분석

요약

본 보고서는 앞서 발표한 「중장기 인력수급전망 2016-2026」의 전망 결과와 정합성을 유지하여 16개 시도의 지방자치단체별로 노동시장의 특성 분석과 함께 인력수급 전망을 수행한 것이다. 지역별 인력수급 전망은 9개 권역· 16개 시도별로 인력수급 전망을 세부적으로 실행하였으며 9개 권역은 수도권(서울, 인천, 경기), 동남권(부산・울산・경남), 대구・경북권, 광주・전남권, 대전・충남권, 전북권, 충북권, 강원권, 제주권으로 구분하였다. 전망 수준은 제 9차 표준 산업·직업분류의 대분류 수준 자료를 활용하여 지역별 산업 대분류, 직업 대분류 인력수요 전망 결과를 도출하였고, 전망 기간은 2016년에서 2026년으로 하며, 중장기 인력수급 전망 결과와 정합성을 맞춰 지역별로 전망 결과를 도출하였다.

저자의 다른 보고서

의 다른 보고서,
검색조건 입력
게시판명 목록이며 번호, 구분, 보고서명, 게시일, 저자, 조회수, 첨부파일 정보 제공
번호 구분 보고서명 게시일 저자 다운로드수 첨부파일

연관 보고서

의 연관 보고서,
검색조건 입력
게시판명 목록이며 번호, 구분, 보고서명, 게시일, 저자, 조회수, 첨부파일 정보 제공
번호 구분 보고서명 게시일 저자 다운로드수 첨부파일

Lo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