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사업보고서
중장기 인력수급 전망 2018-2028
중장기 인력수급 전망 2018-2028
- 게시일
- 2020-07-13
- 주제대상
- 인력수급전망,공통
- 조회수
- 3344
- 다운로드
- 2203
- 바로보기
- 47
목차
제1장 서 론
제2장 최근 해외 동향
제3장 핵심 생산연령인구 비중과 산업별 노동수요
제4장 여성의 인력수급 변화 분석
제5장 청년 인력공급 변화 분석
제6장 중고령층 노동시장의 코호트 효과(cohort effect) 분석
제7장 기술혁신과 인력수요의 변화
제8장 중장기 인력공급 전망
제9장 경제성장 및 산업별 부가가치 전망
제10장 산업별 취업자 수 전망
제11장 직업별 취업자 수 전망
제12장 학력별 인력수요 전망
제13장 학력별 인력수급 격차 전망
제14장 부문별 인력수요 전망
제15장 전망 결과 분석 및 정책적 시사점
참고문헌
부록
요약
중장기 인력수급 전망은 미래 노동시장 구조를 파악하여 지속적인 경제성장을 위한 인력 양성 정책에 기여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한다. 또한 경제주체들에 미래의 인력수급 정보를 제공하여 진로 및 직업선택에 도움이 되고자 하며, 이를 통해 인력의 효율적인 배분을 이끌어 낼 수 있을 것이다.
최근 중장기 인력수급 전망에서 고려해야 할 가장 중요한 요인은 인구효과와 기술발전이라고 할 수 있다. 저출산 및 고령화로 인구구조가 변화하는 한편 총인구 증가가 둔화되고 주 근로연령대 인구는 감소할 것이며, 이러한 인구효과는 노동력 제약에 따른 경제성장의 장애요인으로 작용할 것이다. 또한 제4차 산업혁명과 관련된 기술의 급격한 발전은 전체 생산과 노동생산성에 영향을 미치면서 고용구조도 변화시킬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주요 전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인력공급 측면에서 생산가능인구는 2018년 44,182천 명에서 2028년에는 46,091천 명으로 1,909천 명 증가할 것이며, 경제활동인구는 2018년 27,895천 명에서 2028년에는 29,134천 명으로 1,238천 명 증가하는 것으로 전망된다. 경제활동참가율은 전망 기간 63.1%에서 63.2로 0.1%p 높아질 것이다. 인력수요 측면에서 취업자 수 전망 결과를 보면 2018년 26,822천 명에서 2028년에는 28,104천 명으로 1,281천 명 증가할 것이다.
인력공급과 인력수요 전망 결과를 종합하면, 고용률은 2018년 60.7%에서 2028년에 61.0%으로 상승할 것으로 예측되며 실업률은 2018년에 3.8% 수준에서 2028년에 3.5%로 낮아질 전망이다.
저자의 다른 보고서
의 다른 보고서, 건
| 번호 | 구분 | 보고서명 | 게시일 | 저자 | 다운로드수 | 첨부파일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