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영업 부문 인력수급 전망

우리나라 노동시장에서 자영업 부문은 2018년 전체 취업자의 21%(비농 자영업 부문은 17.8%)로 상당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따라서 중장기 인력수급 전망의 정확도를…

연구사업보고서

자영업 부문 인력수급_표지

자영업 부문 인력수급 전망

자영업 부문 인력수급 전망

저자
박진희, 이시균, 이혜연, 안주엽, 지민웅, 박양신
게시일
2020-08-27
주제대상
인력수급전망,공통
조회수
650
다운로드
931
바로보기
2
키워드

목차

제1장 서론 제2장 자영업 부문 고용 추이 제3장 지역별 자영업 분석 제4장 거시경제 현황과 자영업 제5장 자영업자 동학 분석 : 소상공인을 중심으로 제6장 자영업 구조변화와 경영활동 제7장 자영업 부문 전망 참고문헌 부록

요약

우리나라 노동시장에서 자영업 부문은 2018년 전체 취업자의 21%(비농 자영업 부문은 17.8%)로 상당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따라서 중장기 인력수급 전망의 정확도를 위해서는 취업자에서 상당한 비중을 차지하는 자영업 부문의 전망이 필수적이다. 특히 우리나라 노동시장에서 자영업 부문은 인력수급 불균형을 조절하는 완충 기능을 하였다는 점을 고려할 때 매우 중요하며 자영업을 임금근로자로 취업하지 못하고 밀려난 실업자의 대안적인 선택지로 인식할지 아니면 기업가적 정신이 깃들어져 있는 사업체의 창업으로서 미래 일자리 창출 자원으로 인식할지에 따라 자영업 인력수급 전망의 방향 및 수준이 달라질 수 있다. 본 연구는 자영업이 여전히 인력수급 불균형을 조절하는 완충 기능을 수행하고 있는지, 자영업 감소 추이가 중장기적으로 지속될 것인지, 지속된다면 얼마나 감소할 것인지, 베이비붐 세대의 고령화와 30∼54세 핵심 노동인구의 감소에 따라 자영업 부문의 구조 및 고용 변동이 어떻게 변화할 것인지를 살펴봐야 한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한다. 한편 자영업 부문이 취업자 전망에서 차지하는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자영업 부문을 따로 떼어낸 인력수급 전망은 거의 없는 실정이다. 특히 중장기 인력수급 전망과 정합성을 유지하면서 자영업 부문에서 인력수급 전망과 관련한 연구 사업은 거의 없다. 따라서 본 연구는 중장기 인력수급 전망과 정합성을 유지하면서 중장기적 관점에서 자영업 부문의 인력수급 전망을 주목적으로 한다.

저자의 다른 보고서

의 다른 보고서,
검색조건 입력
게시판명 목록이며 번호, 구분, 보고서명, 게시일, 저자, 조회수, 첨부파일 정보 제공
번호 구분 보고서명 게시일 저자 다운로드수 첨부파일

연관 보고서

의 연관 보고서,
검색조건 입력
게시판명 목록이며 번호, 구분, 보고서명, 게시일, 저자, 조회수, 첨부파일 정보 제공
번호 구분 보고서명 게시일 저자 다운로드수 첨부파일

Lo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