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사업보고서
노동시간과 이직, 근속 분석 - 이직과 근속 분석에 의한 생애 노동시간 추정 -
노동시간과 이직, 근속 분석 - 이직과 근속 분석에 의한 생애 노동시간 추정 -
요약
노동시장에 처음 입직한 개인이 노동시장에서 퇴장할 때까지 기간을 ‘노동생애’라고 할 때 평균적인 한국 임금노동자의 노동생애에 걸친 노동시간의 추정이 본 연구의 목표다. 연령 코호트별 자료를 활용하여 가상의 평균 임금노동자를 상정하고 노동시간 단축 효과의 총량을 계산할 때, 단지 가시적인 평균 노동시간만이 아니라 휴일·휴가 등 비가시적 요인을 함께 고려했다. 분석 결과, 10년동안 평균 2회의 이직을 경험하는 한국 임금노동자의 생애 노동시간은 유급 휴일·휴가 일수 및 혜택 비중을 고려하면 남성 67천 시간, 여성 46천 시간이다. 주44시간제에서 주40시간제로 이행으로 감소한 생애 노동시간은 남성 11천 시간, 여성 7천 시간, 정년퇴직자 6천 시간으로 추정된다. 이러한 분석은 노동시장에서 계속 이직을 경험하며 참가를 지속하는 평균적인 한국 임금노동자에 대한 다양한 가정을 기반으로 하였으므로 제한적이지만 노동시간의 비가시적 구성 요소의 중요성과 노동시간 단축의 개인 수준에서 효과 파악의 의의가 환기된다.
저자의 다른 보고서
의 다른 보고서, 건
| 번호 | 구분 | 보고서명 | 게시일 | 저자 | 다운로드수 | 첨부파일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