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동시간과 이직, 근속 분석 - 이직과 근속 분석에 의한 생애 노동시간 추정 -

노동시장에 처음 입직한 개인이 노동시장에서 퇴장할 때까지 기간을 ‘노동생애’라고 할 때 평균적인 한국 임금노동자의 노동생애에 걸친 노동시간의 추정이 본…

연구사업보고서

노동시간과 이직_표지

노동시간과 이직, 근속 분석 - 이직과 근속 분석에 의한 생애 노동시간 추정 -

노동시간과 이직, 근속 분석 - 이직과 근속 분석에 의한 생애 노동시간 추정 -

저자
이정아
게시일
2020-09-03
주제대상
고용정보분석,공통
조회수
750
다운로드
1009
바로보기
13
키워드

목차

제1장 서론 제2장 자료 및 분석 방법 제3장 노동시간의 현황과 추세 제4장 연령대별 이직과 근속 경험 제5장 임금노동자의 생애 노동시간 제6장 결론

요약

노동시장에 처음 입직한 개인이 노동시장에서 퇴장할 때까지 기간을 ‘노동생애’라고 할 때 평균적인 한국 임금노동자의 노동생애에 걸친 노동시간의 추정이 본 연구의 목표다. 연령 코호트별 자료를 활용하여 가상의 평균 임금노동자를 상정하고 노동시간 단축 효과의 총량을 계산할 때, 단지 가시적인 평균 노동시간만이 아니라 휴일·휴가 등 비가시적 요인을 함께 고려했다. 분석 결과, 10년동안 평균 2회의 이직을 경험하는 한국 임금노동자의 생애 노동시간은 유급 휴일·휴가 일수 및 혜택 비중을 고려하면 남성 67천 시간, 여성 46천 시간이다. 주44시간제에서 주40시간제로 이행으로 감소한 생애 노동시간은 남성 11천 시간, 여성 7천 시간, 정년퇴직자 6천 시간으로 추정된다. 이러한 분석은 노동시장에서 계속 이직을 경험하며 참가를 지속하는 평균적인 한국 임금노동자에 대한 다양한 가정을 기반으로 하였으므로 제한적이지만 노동시간의 비가시적 구성 요소의 중요성과 노동시간 단축의 개인 수준에서 효과 파악의 의의가 환기된다.

저자의 다른 보고서

의 다른 보고서,
검색조건 입력
게시판명 목록이며 번호, 구분, 보고서명, 게시일, 저자, 조회수, 첨부파일 정보 제공
번호 구분 보고서명 게시일 저자 다운로드수 첨부파일

연관 보고서

의 연관 보고서,
검색조건 입력
게시판명 목록이며 번호, 구분, 보고서명, 게시일, 저자, 조회수, 첨부파일 정보 제공
번호 구분 보고서명 게시일 저자 다운로드수 첨부파일

Lo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