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장년(50~64세) 노동시장 구조 및 인력수요 변화 분석

이 연구는 퇴직시점에서 경제활동 변화를 겪는 50~64세 중장년층을 대상으로 노동시장의 구조와 산업별 취업자 변화를 살펴보았다. 경제활동상태와 종사상지위 변화를 통해…

연구사업보고서

중장년(50~64세) 노동시장_표지

중장년(50~64세) 노동시장 구조 및 인력수요 변화 분석

중장년(50~64세) 노동시장 구조 및 인력수요 변화 분석

저자
정재현
게시일
2020-09-07
주제대상
인력수급전망,중장년
조회수
2825
다운로드
2047
바로보기
21
키워드

목차

제1장 서론 제2장 인구구조의 변화 제3장 중장년 경제활동참가 현황 분석 제4장 중장년층 종사상지위 및 산업별 취업 상태 변화 제5장 요약 및 시사점 참고문헌

요약

이 연구는 퇴직시점에서 경제활동 변화를 겪는 50~64세 중장년층을 대상으로 노동시장의 구조와 산업별 취업자 변화를 살펴보았다. 경제활동상태와 종사상지위 변화를 통해 15세에 걸쳐있는 중장년층을 동질적인 집단으로 보기 어렵고 5세 단위 세 개 집단으로 구분하는 것이 분석에 유용하였다. 그리고 노동시장에서 여성과 남성은 다른 위치에 있기 때문에 성별 연령대별로 6개 집단으로 구분할 수 있다. 분석결과 50~64세 인구전체는 향후 2028년까지 증가하여 향후 10년 동안 성장잠재력의 일부를 구성할 수 있다. 이 연령대에서 60~64세 남성은 경제활동참가율이 하락추세에 있지만 여성은 아직 경제활동참가율이 증가하고 있다. IE-APC 분석결과 청년층을 제외한 연령대에서 경제활동참가율에 유의한 양의 효과가 있었으며 외환위기, 카드대란 그리고 글로벌 금융위기 직전년도인 1997년, 2002년, 2007년의 기간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특히 2014년 이후 기간효과는 경제활동참가율에 유의한 양의 영향을 주었다. 그리고 1959~63년 여성 출생자와 남성 중장년층은 경제활동참가율에 유의한 양의 효과를 주었다.

저자의 다른 보고서

의 다른 보고서,
검색조건 입력
게시판명 목록이며 번호, 구분, 보고서명, 게시일, 저자, 조회수, 첨부파일 정보 제공
번호 구분 보고서명 게시일 저자 다운로드수 첨부파일

연관 보고서

의 연관 보고서,
검색조건 입력
게시판명 목록이며 번호, 구분, 보고서명, 게시일, 저자, 조회수, 첨부파일 정보 제공
번호 구분 보고서명 게시일 저자 다운로드수 첨부파일

Lo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