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이비부머의 주된 일자리 퇴직 후 경력경로 및 경력발달 이해를 위한 질적 종단 연구(7차년도)

베이비부머의 주된 일자리 퇴직 후 경력경로 및 경력발달 이해를 위한 질적 종단 연구는 질적 패널 자료를 통하여 베이비부머의 경력경로와 퇴직과정에서 나타나는 다양한 …

연구사업보고서

1

베이비부머의 주된 일자리 퇴직 후 경력경로 및 경력발달 이해를 위한 질적 종단 연구(7차년도)

베이비부머의 주된 일자리 퇴직 후 경력경로 및 경력발달 이해를 위한 질적 종단 연구(7차년도)

저자
김은석(한국고용정보원), 장서영(일연구소), 이지연(서울심리지원센터), 심우정(한남대학교), 유애영(한국고용정보원)
게시일
2021-06-09
주제대상
진로
조회수
569
다운로드
996
바로보기
5

목차

제1장 서론 1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제2절 연구 내용 5 제3절 연구 방법 7 제4절 연구 절차 9 제2장 베이비부머 질적 종단 연구 조사 개요 12 제1절 베이비부머 질적 종단 연구 설계의 기본 방향 12 제2절 조사 영역 및 내용 설정 15 제3절 베이비부머 연구참여자 표본 선정 21 제4절 패널 관리 24 제3장 베이비부머 질적 종단 연구 자료 수집 과정 26 제1절 자료 수집 방법 26 제2절 자료 분석 방법 27 제3절 조사 수행 및 자료 활용 시 윤리적 고려 31 제4장 새경력시작형의 일과 삶 32 제1절 새경력시작형의 인적사항 및 주요 특징 32 제2절 새경력시작형의 퇴직 후 경력경로 35 제3절 새경력시작형의 일과 활동, 삶의 변화 64 제4절 새경력시작형의 노후에 대한 인식 79 제5절 소결 90 제5장 경력무관형의 일과 삶 93 제1절 경력무관형의 인적사항 및 주요 특징 93 제2절 경력무관형의 퇴직 후 경력경로 96 제3절 경력무관형의 일과 활동, 삶의 변화 136 제4절 경력무관형의 노후에 대한 인식 173 제5절 소결 182 제6장 경력연계형의 일과 삶 187 제1절 경력연계형의 인적사항 및 주요 특징 187 제2절 경력연계형의 퇴직 후 경력경로 189 제3절 경력연계형의 일과 활동, 삶의 변화 228 제4절 경력연계형의 노후에 대한 인식 253 제5절 소결 260 제7장 결론 및 제언 264 참고 문헌 271 [부록 1] 심층면담 사전 설문지 276 [부록 2] 본조사 질문지 278 [부록 3] 연구 참여 의뢰서 및 동의서 287

요약

베이비부머의 주된 일자리 퇴직 후 경력경로 및 경력발달 이해를 위한 질적 종단 연구는 질적 패널 자료를 통하여 베이비부머의 경력경로와 퇴직과정에서 나타나는 다양한 삶의 맥락적 의미를 심층적으로 파악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4차 본조사에 해당하는 본 연구에서는 3차 본조사 참여자 중 연구참여를 수락한 37명의 베이비부머 연구참여자를 대상으로 주된 일자리 퇴직 후 7~8년 정도 시간이 경과한 현 시점에서 ‘변화’에 초점을 두고, 경력경로 상의 주요 변화, 일과 삶의 변화, 노년에 대한 인식에 대해 분석하였다. 그 결과, 새경력시작형, 경력무관형, 경력연계형 등 각 경력유형별 경력경로와 일과 활동 및 삶의 변화 양상에 대한 결과와 시사점을 도출하였고,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향후 베이비부머 대상의 생애경력개발과 고용서비스 제공을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저자의 다른 보고서

의 다른 보고서,
검색조건 입력
게시판명 목록이며 번호, 구분, 보고서명, 게시일, 저자, 조회수, 첨부파일 정보 제공
번호 구분 보고서명 게시일 저자 다운로드수 첨부파일

연관 보고서

의 연관 보고서,
검색조건 입력
게시판명 목록이며 번호, 구분, 보고서명, 게시일, 저자, 조회수, 첨부파일 정보 제공
번호 구분 보고서명 게시일 저자 다운로드수 첨부파일

Lo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