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년 인력수급 전망 모형 개선: KEISIM개발과 개선을 중심으로

현재 우리 노동시장은 노동공급 규모와 더불어 인구구조가 급격하게 변화하고 있다. 이는 1차 베이비붐 세대의 은퇴, 2차 베이비붐 세대의 고령층 진입, 1차와 2차 베이비…

연구사업보고서

케심

2020년 인력수급 전망 모형 개선: KEISIM개발과 개선을 중심으로

2020년 인력수급 전망 모형 개선: KEISIM개발과 개선을 중심으로

저자
박진희 외 4명
게시일
2021-07-09
주제대상
인력수급전망,공통
조회수
877
다운로드
730
바로보기
3
키워드

목차

제1장 서론 제2장 KEISIM의 기본특징과 구조 제3장 사망 모듈 제4장 출생 모듈 제5장 결혼 모듈 제6장 교육 모듈 제7장 노동시장 모듈 제8장 소득 모듈 제9장 결론: 중장기 인력수급 전망의 주요 결과 참고문헌

요약

현재 우리 노동시장은 노동공급 규모와 더불어 인구구조가 급격하게 변화하고 있다. 이는 1차 베이비붐 세대의 은퇴, 2차 베이비붐 세대의 고령층 진입, 1차와 2차 베이비붐 세대의 자녀들인 에코붐 세대의 노동시장 진입 등 거대 인구 집단이 노동시장에 진입하거나 퇴장함에 따른 것이다. 이러한 노동시장의 인구구조 변화는 인력수급 전망 방법론에 대한 정교화 작업을 요구한다. 과거와 달리 향후에는 저출산과 고령화의 심화로 생산가능인구 규모가 빠르게 변화하고 이에 따라 경제활동인구의 구성도 달라질 것이다. 따라서 정확한 인력공급 전망을 위해서는 이러한 변화를 반영할 수 있는 전망 방법이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KEISIM 미시모의실험은 인구구조나 노동시장 변화와 예산이 소요되는 사회복지 정책이나 재정이 투입되는 일자리 사업 등에 따른 경제활동인구 규모 및 구조 변화를 전망할 수 있는 대표적인 방법이다. 이에 한국고용정보원 인력수급전망팀에서는 2012년 이후부터 자체 개발하여 구축한 미시모의실험 모형인 KEISIM을 이용하여 향후 10년의 인력공급 전망을 수행해 오고 있다. KEISIM은 개인의 생애에 일어나는 출생부터 교육, 결혼, 출산, 취업, 실업, 소득, 사망 등 개발된 모듈의 순차 과정(ageing process)을 통해 이러한 인구구조의 변화를 반영하여 인력공급을 전망한다. 특히 2020년 KEISIM에는 저출산·고령화 심화 현상을 반영하기 위해 사망 모듈과 출산 모듈의 추정 방법을 개선하여 전망의 예측력과 신뢰도를 높이고자 했다. 동시에 기존에 개발되어 전망에 활용하고 있는 노동공급 중심의 KEISIM 모형을 노동수요를 포괄하는 모듈로 개발하여 전망에 반영했다. 본 보고서는 KEISIM을 구성하고 있는 각 모듈과 관련한 최근 동향, 추정방법, 활용자료 및 추정결과를 설명하고 마지막으로 KEISIM을 이용하여 전망한 노동공급과 수요의 전망결과를 제시한다.

저자의 다른 보고서

의 다른 보고서,
검색조건 입력
게시판명 목록이며 번호, 구분, 보고서명, 게시일, 저자, 조회수, 첨부파일 정보 제공
번호 구분 보고서명 게시일 저자 다운로드수 첨부파일

연관 보고서

의 연관 보고서,
검색조건 입력
게시판명 목록이며 번호, 구분, 보고서명, 게시일, 저자, 조회수, 첨부파일 정보 제공
번호 구분 보고서명 게시일 저자 다운로드수 첨부파일

Lo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