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장기 인력수급 수정전망 2019-2029

중장기 인력수급 전망은 미래 노동시장 구조를 파악하여 지속적인 경제성장을 위한 인력양성 정책에 기여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한다. 금번 중장기 인력수급 전망은 2019…

연구사업보고서

썸네일

중장기 인력수급 수정전망 2019-2029

중장기 인력수급 수정전망 2019-2029

저자
김수현 외 17명
게시일
2021-07-22
주제대상
인력수급전망,공통
조회수
2096
다운로드
2343
바로보기
17
키워드

목차

제1장 서 론 제2장 코로나19 확산이 인력수급에 미치는 영향 제3장 성별 인력수급 변화 분석 제4장 청년 및 핵심 생산 연령층 인력수급 변화 분석 제5장 정보 통신 기술 도입 확대가 인력수요에 미치는 영향 분석 제6장 외국인 인구와 노동력 통계 분석 제7장 남북 경제 협력이 인력수요 변화에 미치는 영향 제8장 중장기 인력공급 전망 제9장 경제 성장 및 산업별 부가가치 전망 제10장 산업별 취업자 수 전망 제11장 직업별 취업자 수 전망 제12장 학력별 인력수요 전망 제13장 학력별 인력수급 격차 전망 제14장 부문별 인력수요 전망 제15장 중장기 인력수급 전망 결과 분석 제16장 정책적 시사점 참고문헌 부록 1 전망 자료 및 전망 모형 부표 1 산업 중분류별 취업계수 전망 부표 2 산업 중분류별 취업자 수 전망 부표 3 산업 소분류별 취업자 수 전망 부표 4 직업 소분류별 취업자 수 전망 부표 5 직업 세분류별 취업자 수 전망 부표 6 행정(보고) 통계의 자료 출처

요약

중장기 인력수급 전망은 미래 노동시장 구조를 파악하여 지속적인 경제성장을 위한 인력양성 정책에 기여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한다. 금번 중장기 인력수급 전망은 2019년까지의 실측치를 이용하여 2029년까지 중장기 인력공급과 인력수요를 전망하며, 학력별 인력수급 격차를 전망한다. 전망기간은 10년이며, 전망단위를 인당 기준으로 수행한다. 중장기 인력수급 전망 2019년~2029년 결과에서 가장 중요한 특징 중 하나는 인력공급 제약이 본격화되면서 인력수요의 위축이 전망된다는 점이다. 전망결과에 따르면 향후 10년간 구조적 측면에서 우리 노동시장을 불안하게 하는 인구 및 기술 관련 요인이 인력수요와 공급에 중요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판단된다.

저자의 다른 보고서

의 다른 보고서,
검색조건 입력
게시판명 목록이며 번호, 구분, 보고서명, 게시일, 저자, 조회수, 첨부파일 정보 제공
번호 구분 보고서명 게시일 저자 다운로드수 첨부파일

연관 보고서

의 연관 보고서,
검색조건 입력
게시판명 목록이며 번호, 구분, 보고서명, 게시일, 저자, 조회수, 첨부파일 정보 제공
번호 구분 보고서명 게시일 저자 다운로드수 첨부파일

Lo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