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사업보고서
시간제일자리 동향과 정책과제
시간제일자리 동향과 정책과제
목차
제1장 서론
제1절 연구 필요성 및 목적
제2절 연구내용
제2장 경제사회구조변화와 시간제일자리 (이덕재)
제1절 경제의 서비스화와 고용구조의 변동
제2절 고용형태의 다변화와 시간제 일자리
제3절 노동유연성과 시간제일자리
제4절 시간제일자리와 복지국가체계의 대응
제5절 코로나-19 고용위기 하 시간제일자리
제3장 시간제 근로자 특성과 일자리 질 분석 (정한나)
제1절 연구 필요성 및 목적
제2절 시간제 근로 특징
제3절 시간제 근로자의 일자리 질 분석
제4절 육아 및 가사로 인한 여성 시간제 근로자 특징 분석
제5절 소결
제4장 시간제 일자리의 선택과 지속 (이정아)
제1절 연구 필요성 및 목적
제2절 분석자료
제3절 청년의 시간제 일자리
제4절 고령자의 시간제 일자리
제5절 결론
제5장 결론: 요약 및 시사점
요약
오늘날 각국들은 경제의 서비스화 현상 속에 양질의 일자리가 점점 더 축소되는 반면 신규노동시장에 진입하려는 구직자들이 많아지면서 일자리 미스매치가 심화되는 등 지속되는 고용문제와 일-가정 양립 문제의 사회적 이슈화 속에서 시간제일자리를 적극적인 고용형태로 추진해왔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실제 우리나라에서 시간제 일자리를 중심으로 한 고용동향을 종합적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에 따라 2장에서는 경제의 서비스화 현상에 따른 고용구조의 변화 속에서 시간제 일자리의 이론적 및 국제적 동향, 특히 각국들간의 대응 양상들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3장에서는 통계청에서 발표하는 경제활동부가조사자료를 이용하여 시간제 일자리의 양 및 질적 측면을 종합적으로 살펴보았다. 그리고 4장에서는 시간제 일자리의 주요 공급 부문인 청년과 고령자의 시간제 선택과 지속에 관한 분석을 통해 시간제 일자리가 계속 증대된 원인을 파악하고자 했다. 이를 통해 시간제 일자리가 최근 일자리 창출의 주요형태라는 점이 확인되었으며 대신에 질적인 측면의 문제들이 동시에 여전히 확인됨에 따라 이에 대한 정책적 대응방안을 정책적 시사점으로 제안하였다.
저자의 다른 보고서
의 다른 보고서, 건
| 번호 | 구분 | 보고서명 | 게시일 | 저자 | 다운로드수 | 첨부파일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