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재생에너지산업의 발전동향과 고용시장 분석

본 연구는 국내외 신재생에너지 산업의 발전 동향과 경제적 파급효과를 분석하고 국내 고용시장 구조를 진단함으로써 인력양성과 인력수급 불균형 해소를 위한 정책적 시사…

연구사업보고서

표지_신재생

신재생에너지산업의 발전동향과 고용시장 분석

신재생에너지산업의 발전동향과 고용시장 분석

저자
홍현균 외 3명
게시일
2021-08-30
주제대상
인력수급전망,공통
조회수
578
다운로드
799
바로보기
3
키워드

목차

제1장 서 론 제2장 신재생에너지산업의 구성과 및 특성 제3장 신재생에너지산업의 동향과 및 정책 제4장 신재생에너지의 산업연관분석 제5장 신재생에너지산업의 고용시장 분석 제6장 요약 및 정책적 시사점 222 참고문헌 부록 신재생에너지산업 현황과 및 전망 관련 FGI 조사 결과

요약

본 연구는 국내외 신재생에너지 산업의 발전 동향과 경제적 파급효과를 분석하고 국내 고용시장 구조를 진단함으로써 인력양성과 인력수급 불균형 해소를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국내 신재생에너지 산업 육성을 위해 시장 개방 및 재생에너지 경매를 도입하여 비용 하락을 유도하고, 태양광·풍력 중심의 가치사슬 복원과 경쟁력 강화가 필요하다. 고용시장의 양적·질적 제고를 위해서는 첫째, 세계적으로 고용유발계수가 높은 서비스 부문과 전력 부문을 결합하여 전력 서비스 시장을 확대하는 방안이 필요하다. 국내 제조 부문 고용은 정체 상황이지만 신재생에너지의 발전량과 신규 설비용량의 성장세로 인해 제조부문 이외 건설·시공, 발전, O&M 중심으로 향후 시장이 확대될 전망이다. 둘째, 인력 수급 불균형 해소를 위해 산업계의 인력 니즈가 큰 고졸 인력의 실무 능력 향상을 위한 현장 중심의 산학 연계형 교육 프로그램을 확대하고, 잦은 이직·퇴직으로 인한 숙련직 공백을 메우기 위해 실무형 교과과정을 신설·확대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향후 에너지의 디지털화 시대에 적합한 융복합형의 고급 인재양성 프로그램 역시 개발·보급이 확대되어야 할 것이다.

저자의 다른 보고서

의 다른 보고서,
검색조건 입력
게시판명 목록이며 번호, 구분, 보고서명, 게시일, 저자, 조회수, 첨부파일 정보 제공
번호 구분 보고서명 게시일 저자 다운로드수 첨부파일

연관 보고서

의 연관 보고서,
검색조건 입력
게시판명 목록이며 번호, 구분, 보고서명, 게시일, 저자, 조회수, 첨부파일 정보 제공
번호 구분 보고서명 게시일 저자 다운로드수 첨부파일

Lo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