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사업보고서
지방소멸 위기 극복을 위한 지역 일자리 사례와 모델
지방소멸 위기 극복을 위한 지역 일자리 사례와 모델
- 게시일
- 2022-04-01
- 주제대상
- 일자리사업,공통
- 조회수
- 5496
- 다운로드
- 4576
- 바로보기
- 57
목차
〚 차 례 〛
제1장 왜 지역 일자리 모델인가?(이상호, 김 필) 1
제2장 러스트벨트형: 군산형 상생일자리 사례(황규성) 18
제3장 대학소멸위기형: 광주·전남과 경남의 지역혁신플랫폼 사례(서 룡) 55
제4장 원도심쇠퇴형: 영도구 도시재생 일자리 사례(박선미) 95
제5장 풀뿌리공동체형: 의성군 이웃사촌시범마을 사례(이상호) 139
제6장 대안적 지역 일자리 전략을 향해(이상호) 171
참고문헌 198
요약
4차산업혁명과 인구감소, 제조업 쇠퇴에 따라 지역의 일자리가 감소하고 청년인구 유출이 가속화되는 등 지방소멸 위기가 심각해지고 있다. 이 연구는 지역의 위기를 기회로 전환시키기 위해, 지역 위기의 유형에 따라 지역 주체들의 정책 대응이 어떻게 이루어졌는지를 사례 연구를 통해 살펴보고 있다. 선정한 사례로는 ①제조업 산업쇠퇴-군산상생형 일자리 모델, ② 대학 소멸위기-광주/전남 및 경남의 지역혁신플랫폼 모델, ③ 원도심쇠퇴: 부산 영도구 도시재생일자리 모델, ④ 농어촌 청년인구유출 ; 경북 의성군 이웃사촌시범마을 등이다. 이 사례들을 통해 각 사례의 배경, 주요 사업 내용, 성과와 한계, 그리고 일자리 모델에의 함의를 도출한다. 마지막으로 결론에서는 각 사례들의 함의들을 모아서 대안적인 일자리 모델과 전략, 그리고 지역노동시장 유형별 정책 수단들을 제시하고 있다. 이를 통해 새로운 일자리 전략을 수립하고 지역특성 맞는 일자리 모델을 제시하는데 기여하고자 했다.
저자의 다른 보고서
의 다른 보고서, 건
| 번호 | 구분 | 보고서명 | 게시일 | 저자 | 다운로드수 | 첨부파일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