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장기 인력수급 전망 2020~2030

2030년 우리 노동시장에서 15세 이상 인구는 2020년 이후 연평균 0.3%씩 증가한 46,129천 명이 될 것이다. 15~64세 생산가능인구는 저출산·고령화 심화에 따라 2018…

연구사업보고서

표지

중장기 인력수급 전망 2020~2030

중장기 인력수급 전망 2020~2030

저자
박진희, 정재현, 김수현, 홍현균, 김새봄, 정순기, 방글, 공정승, 이혜연, 김영달, 이용호, 권혁진, 김종숙, 이학기, 홍성민, 윤문희
게시일
2022-06-16
주제대상
인력수급전망,공통
조회수
2127
다운로드
1529
바로보기
6
키워드

목차

제1장 서 론 제2장 인구구조 변화와 노동시장 제3장 경력단절 여성을 중심으로 하는 여성 노동시장 변동 제4장 기술혁신에 의한 노동 수요 변화 제5장 과학기술 인력 직업 현황과 변화 분석 제6장 외국인 인구의 규모와 경제활동 현황 제7장 중장기 인력공급 전망 제8장 경제 성장 및 산업별 부가가치 전망 제9장 산업별 취업자 수 전망 제10장 직업별 취업자 수 전망 제11장 부문별 인력수요 전망 제12장 전망 결과 분석 및 정책적 시사점 참고문헌 부록 1 전망 자료 및 전망 모형 부록 2 일본의 청년 노동시장 정책의 변화와 시사점 부표 1 산업 중분류별 취업계수 전망 부표 2 산업 중분류별 취업자 수 전망 부표 3 산업 소분류별 취업자 수 전망 부표 4 직업 소분류별 취업자 수 전망 부표 5 직업 세분류별 취업자 수 전망 부표 6 행정(보고) 통계의 자료 출처

요약

2030년 우리 노동시장에서 15세 이상 인구는 2020년 이후 연평균 0.3%씩 증가한 46,129천 명이 될 것이다. 15~64세 생산가능인구는 저출산·고령화 심화에 따라 2018년부터 감소하는 추세가 이어져 2030년에 33,437천 명으로 전망되며, 2020년 이후 연평균 0.9%씩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 2030년 경제활동인구는 28,758천 명으로 예상되며, 15~64세 경제활동인구는 2020년 이후 연평균 0.5% 감소하여 2030년 23,883천 명으로 전망하였다. 경제활동참가율은 전망 기간 내 62.5%에서 62.3%로 감소할 것이나 15~64세 인구의 경제활동참가율은 2030년 71.4%로 2020년 68.6%에서 2.8%p 상승할 것으로 전망된다. 취업자 수는 2020년부터 2030년까지 연평균 0.4%씩 증가하여 2030년에 27,888천 명으로 증가가 전망되며, 고용률은 2020년에 60.1%에서 2030년에 60.5%로 0.4%p 상승할 전망이다. 실업률은 2020년에 4.0%, 2030년에 3.0%로 0.9%p 하락할 것으로 전망하였다.

저자의 다른 보고서

의 다른 보고서,
검색조건 입력
게시판명 목록이며 번호, 구분, 보고서명, 게시일, 저자, 조회수, 첨부파일 정보 제공
번호 구분 보고서명 게시일 저자 다운로드수 첨부파일

연관 보고서

의 연관 보고서,
검색조건 입력
게시판명 목록이며 번호, 구분, 보고서명, 게시일, 저자, 조회수, 첨부파일 정보 제공
번호 구분 보고서명 게시일 저자 다운로드수 첨부파일

Loading...